현대 유동성 위기의 진앙지인 현대건설에 대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9일 김윤규 현대건설 사장은 귀국하면서 “현대건설의 유동성 위기는 일시적인 자금의 ‘미스매치’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현대그룹 관계자도 “이번 사태는 금융시장의 불안심리에 건설쪽의 일시적 자금경색이 맞물리면서 유동성 위기로 비화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시장의 분위기는 현대의 이런 주장에 쉽게 동의하지 않고 있다.이번 위기는 일시적 자금운용이나 조달상의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인 채무상환 능력의 문제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재무구조는 어떤가= 지난 90∼99년까지 10년간 현대건설의 현금적자 합계는 3조원에 달한다.같은 기간 순이익은 1287억원에 불과하다.지난해말 기준으로 미수금 총액은 이라크 미수채권 8.5억달러(약 9700억원)를 포함, 무려 2조7126억원에 달한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유상증자자금 등으로 총 8588억원의 차입금을 상환, 전체 차입금 규모는 5조1534억원으로 전년대비 14% 줄었다.유상증자 자금 모두를 쏟아부어 유동성 위기를 초래한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대량 발행, 금년에 만기도래하는 기업어음(CP) 규모가 약 6000억원에 달하고 이중 5000억원은 7월에 도래한다.내년에는 회사채 1조4700여억원, 해외채권 8500만달러를 상환해야 하는데,현대건설로서는 시장 신뢰를 하루속히 회복하지 않은 한 사실상 역부족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올해 수익이 좋아지고 있지만 미수금 문제, 회사채 차환발행 등의 어려움을 감안할 때 자력회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혹평했다.
◇ 위기는 왜 초래됐나= 지난 93년 최저가입찰제가 도입된 이후 건설업체간 저가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현대건설의 수익성은 악화 일로를 걷기 시작했다. 특히 97년 건설업 면허제도가 종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변경되면서 건설업체가 난립, 경쟁이 치열해졌고 외환위기는 현대건설을 포함, 국내 건설업계의 수익성을 최악의 수준까지 몰고갔다.
현대의 잘못된 경영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현대의 해외건설 수주 중 상당부분이 당장 유동성을 확보하기위한 덤핑수주”라고 분석했다.
◇ 최선의 해법은= 현대건설이 회생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단기유동성 확보대책 뿐 아니라 그룹 차원의 시장신뢰 회복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한 애널리스트는 “자구노력이 약속대로 이행되지 않는다면 워크아웃과 같은 보다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도높게 말했다.
김종수 js333@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