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재벌해체로 전경련 무용론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6.02 04:36

수정 2014.11.07 14:19


현대 정주영 명예회장의 퇴진으로 재벌 체제가 해체될 위기에 몰리면서 전국경제인연합회의 무용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60년대 설립 당시부터 기업 오너들의 이익을 대변하면서 존립의 당위성을 가졌으나 점차 그 기능을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이 대한상의와 경총 등 다른 경제단체와 사실상 중복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해체나 합병 등 어떤 식으로든 새로운 변신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 재계 안팎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전경련은 실제로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이후 2년여 동안 제 역할을 거의 하지 못했다.

김우중 전 회장은 대우의 해체와 맞물려 제대로 챙길 수가 없었고, 그후 김각중 현 회장체제도 기업들이 구조조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상황이어서 재계의 의사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

전경련의 위상이 약화된 최대 원인은 구성원이자 주인인 주요 대기업 오너들이 참석하지 않고있는 것이다.이건희 삼성 회장과 구본무 LG회장은 1 년 이상 회장단 회의에 나오지 않고 있다.

현대의 정주영 명예회장 일가도 전경련 행사에 얼굴을 비치지 않은 상태이며 한진, 롯데 등 주요 대기업 관계자들도 전경련 모임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회장단 회의 참석자는 보통 7∼8명에 불과하다.그나마 워크아웃중인 기업 대표들이 대부분이어서 전혀 힘이 실리지 않고 있다.

전경련은 특히 정부의 구조조정에 사사건건 반대하는 모습을 보여 정부로부터 소외되고 기업들로부터도 부담스러운 존재가 되고 있다.

정부는 전경련 회장단이 지난 4월 모임에서 ‘정부는 간섭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 것과 관련, 반(反)개혁의 구심점으로 전경련을 지목했다.정부와 재계간 갈등은 개별기업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민석기 msk@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