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금융권부실공개 이후] 펀드매니저 능력따라 수익률 큰 격차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6.30 04:43

수정 2014.11.07 14:06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잠재부실 내역이 공개됨에 따라 투자자들의 관심은 과연 어떤 금융기관에, 어떤 내용의 상품에, 어떤 방식으로 투자해야 안전하고도 높은 자산운용수익을 올릴 수 있을까에 쏠리고 있다.

정부는 이날 금융기관이 갖고 있는 고객의 신탁재산중 잠재부실은 없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발생한 고객들의 예탁자산중 이미 발생해 손실반영중인 부실이 아닌 앞으로 추가로 부실로 바뀔 수 있는 규모를 현시점에서 조사해 모두 처리했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될 경우 향후 발생하는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일차적으로 고객과 신탁회사의 부담이지, 지금처럼 신탁회사나 정부가 손실 혹은 수익을 보전해주지 않는다는 말과도 통한다.

정부는 은행과 투신, 증권사의 기존 수익증권에 대해 클린화 작업을 통해 시장의 투자신뢰도를 회복하고 이어 채권시가평가제 등을 통해 수익증권의 책임을 시장이 모두 떠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투신사 및 은행 등의 수익증권을 클린화함으로써 지금까지 횡행했던 부실책임의 고객 전가나 금융기관의 부실화에 따른 투자자 손실전가 등을 없애고 투명한 경쟁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동안 회사와 고객사이에 끼여 고민했던 펀드매니저들로서는 앞으로 운용다운 운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객들은 채권시가평가제 확대로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지만 채권 매니저들은 운용의 투명성이 높아질 것으로 평가하고 무엇보다도 상부의 간섭을 배제한 자산운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고객들이 원금손실을 우려하지만 국공채 및 신용등급이 높은 회사채를 위주로 펀드를 구성하여 고객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원기 대유리젠트증권 사장은 “펀드매니저의 자질과 운용능력에 따라 수익률에도 차이가 클 것이고 따라서 매니저들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라며 “앞으로는 고객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날 부실공개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의혹은 완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이날 공개되지 않은 금융기관 고유계정의 잠재부실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투신사와 판매사(증권사)는 투신사의 부실부분을 상당부분 고유계정에서 떠안게 됐다.투신사 부실채권중 CBO펀드를 통해 처리한 17조7000억원 중 고유계정이 인수했거나 현금예탁 부분 1조8000억원에 대해서도 의문이 남는다.이들 자산이 장부상 신용보강을 통해 투자적격등급으로 변했다고 해도 부실로 변할 경우 모두 투신사가 떠안아야 한다.

이 경우 신탁재산으로 다시 이전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금감원은 이를 대비해 철저히 감독하겠다는 입장을 최근 밝히기도 했다.

또 공시된 투신사 수익률에 대해서도 100% 신뢰하기는 어렵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대형사의 경우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온 것과 시가펀드가 장부가 펀드보다 높게 나온 점 등은 수익률 산정상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한 투신운용사 중견 펀드매니저는 “지난 16일자 수익률을 일률적으로 연수익률로 적용한 것으로 안다”며 “현재의 수익률이 투자지표가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일단 금융기관의 투명성이 우선돼야 하고 이에 따라 운용능력을 쫓아 움직이는 투자자들은 단순한 수익률보다 손실에 대한 위험을 고려할 수 있는 책임을 부여받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csky@fnnews.com 차상근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