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왕회장-MK간 지분대결 임박


현대의 ‘역계열분리’가 사실상 무산됨에 따라 현대그룹과 몽구 회장간 지분대결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몽구 회장측의 자발적인 현대 자동차 분리를 위한 반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재계는 이르면 다음주중에는 현대자동차 주총이 열려 몽구회장과 왕회장―몽헌 전 회장간 지분 대결이 표면화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최대 피해자인 현대차의 반격= 현대차 관계자는 2일 “몽헌 전회장의 가신(家臣)으로 평가되는 김재수 구조조정본부장의 진짜 목적이 계열분리 ‘성사’가 아닌 ‘무산’이었을 것”이라고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현재 현대차의 지분구조는 △우리사주 12% △다임러크라이슬러 10% △정 전명예회장 9.1% △현대정공 7.8% △미쓰비시 4.8% △정몽구 회장 4.01% △자사주 8.0% 등.

몽구 회장측의 우호지분으로는 몽구 회장 지분과 경영권 안정을 바라고 있는 다임러와 미쓰비시 지분 그리고 현재 계열 분리 무산에 불만을 갖고 있는 현대차 종업원들의 지분을 합한 약 31% 수준.왕회장―몽헌 전회장측은 왕 회장과 현대정공의 지분을 합한 16.9%가 고작.표면상으로는 지분대결로 갈 경우 몽구 회장측이 승리할 수 있다는 얘기다.그러나 최근 증권가를 중심으로 몽헌 전회장측이 역외펀드를 통해 약 30%의 지분을 확보했다는 얘기가 확산되고 있어 주총의 뚜껑은 열어봐야 하는 상황이다.

◇최대변수는 공정위=현대그룹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감안,정부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제2의 현대사태’는 막고자 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아직 중견그룹의 부도 위기론도 아직 가라앉지 않은 상황에서 또다시 ‘제3의 왕자의 난’이 재연될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정부의 재벌정책의 선봉 역할을 해온 공정위는 전방위 압박을 가해 왕회장의 현대차 지분을 3% 이하로 낮추도록 하는데 주력할 전망이다 .

채권단을 통한 금융제재도 예상된다.현재 자동차 등 현대의 일부 우량계열사를 제외하고는 유동성을 장담하기 어려워 채권단의 태도에 따라 현대그룹의 경영여건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이것도 여의치 않을 경우 하반기로 예정되어 있는 4대 그룹에 대한 부당내부조사에서 공정위는 현대그룹에 그 어느해보다 강한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 js333@fnnews.com 김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