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이자도 못 갚는 부실기업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7.24 04:50

수정 2014.11.07 13:42


금융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짓기 위해서는 소생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 한계기업을 과감하게 시장에서 퇴출시켜야 할 것이다.엄청난 규모의 금융부실이 기업부실에서 연유하는 만큼 부실기업 정리 없이는 금융구조조정을 마무리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원(KDI)이 최근 정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부실기업현황보고서에 의하면 영업활동을 해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 못하는 부실기업이 362개나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이번 KDI 분석도 지난번 한국경제연구원이 부실기업을 판단할 때 사용한 이자보상배율을 사용하여 부실개념에 대해 맥을 같이 하고 있다.이자보상배율이란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경영지표로서 세전순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누어 구하며 이 지표가 100% 이하인 기업은 이자도 못 갚는 부실기업으로 분류된다.

KDI가 4800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부실 실상은 99년중 잠재부실기업의 차입금 규모를 112조원으로 추정하고,이중 재무구조가 나빠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이 금융기관에서 빌려온 잠재부실규모는 63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 의하면 70대 기업집단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00%미만 기업이 95년 12개,96년 21개,97년 43개로 점차 늘어나다 98년 41개로 줄고 99년엔 362개로 급증했다.
더구나 삼성,현대,LG,SK 등 4대재벌 가운데에서도 이자보상배율이 100%이하로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이 24개나 달해 상황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최근 도덕적 해이로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부실 워크아웃 기업들의 경우 고합 등 18개기업이 97∼99년 3년간 이자도 제대로 못내는 만성적인 부실상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태를 고려할 때 부실기업의 시장퇴출 등 과감한 기업구조조정이 시급하게 이뤄져야 할 때다. 정부가 64조원이라는 공적자금을 투입하고도 금융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과 최근 의 금융시장 불안과 신용경색 현상도 따지고 보면 모두 이자도 못갚는 부실기업이 시장에 남아 금융부실로 연결되기 때문이다.현재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어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할 수 있는 기간이 6개월 내지 1년밖에 남지 않았다는 KDI의 지적을 다시 생각해봐도 부실기업의 과감한 구조조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