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정부, 현대 구조조정 압박배경]재벌개혁 '마지막 채찍' 强手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7.25 04:50

수정 2014.11.07 13:41


정부의 재벌개혁의지와 시장의 힘이 현대그룹을 다시 강타하기 시작했다.제2금융권 금융기관들이 현대그룹에 대한 돈줄을 회수하기 시작했고 국내 신용평가기관들은 현대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신용평가등급을 낮췄거나 낮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현대그룹의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도 현대그룹 자금난과 관련,잇단 경고음을 내고 있다.제2금융권 금융기관들에는 무차별적인 자금회수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현대측에는 자체 구조조정을 가속화해 스스로 위기를 돌파할 것을 강력 권고했다.
◇위기의 현대=그 뿐이 아니다.증시에서는 현대건설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대상 지정설이 끊이지 않는다.이 회사의 경우 조만간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것이란 우려섞인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현대건설에서 비롯된 현대그룹 위기 재연조짐은 다른 계열사들의 자금조달까지 위축시키는 촉발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까지만 해도 현대그룹 문제라면 쉬쉬하던 금융권과 신용평가기관들이 갑자기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기 시작하면서 현대그룹 상황이 더욱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현대문제가 2개월만에 다시 본격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현대그룹의 자금악화설이 나돈 것이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닌데도 신용평가기관과 외환은행이 갑자기 현대문제를 공식 부각시키기 시작한 배경은 무엇일까.
◇왜 현대인가=금융권에서는 크게 두가지 이유를 꼽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가 현대에 대해 막판 구조조정의 칼을 다시 뽑아든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정부는 2차 재벌개혁의 핵심을 현대그룹 구조조정으로 보고 있고 미적거리는 현대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위기를 오히려 정면으로 부각시켰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정부는 2개월전 현대문제를 수습해주면서 현대그룹에 강력한 구조조정을 할 시간을 부여했다.그러나 현대의 태도는 달랐다.현대자동차 계열분리 약속을 어겼고 현대건설의 자금악화설과 관련해서도 사실무근이라는 주장만 되풀이했다.현대측이 구조조정보다는 현대자동차 경영권과 관련한 형제간의 주도권다툼을 다시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도 설득력있게 나돌았다.상황이 이쯤되다보니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의 힘만으로는 현대의 저항을 꺾을 수 없을 것이란 지적마저 제기됐다.

그러자 정부가 다시 현대를 압박하기 위한 최후의 칼을 뽑아든 것으로 금융권은 해석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평가기관들이 현대계열사들의 신용등급을 일제히 낮추고 연이어 외환은행이 현대측의 위기를 부각시킨 것은 해당 기관들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며 “정부의 의지에 따라 이들 기관이 현대문제를 중점 부각시켰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현대문제를 조기에 부각시켜 구조조정을 앞당김으로써 시장위기를 정면 돌파하려 한다는 게 정부의 의지라는 것이다.

◇막을 수 없는 시장의 힘=현대문제를 다시 부각시킨 두번째 요인으로는 시장의 힘이 꼽히고 있다.정부가 현대그룹에 대해 구조조정의 채찍을 다시 든 것도 시장의 힘을 더이상 거부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최근 금융시장 불안이 재연되면서 현대문제가 다시 자연스럽게 부각되고 이것이 시장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또 현대문제는 최근 증시침체의 주된 요인이 됐을 뿐 아니라 실세금리와 미국달러화에 대한 원화환율 불안까지 촉발하는 파장을 낳고 있다고 덧붙였다.그는 현대측이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완전한 신인도를 회복하는 것만이 현대그룹이나 국내금융시장 모두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경고했다.시장의 힘과 정부의 구조조정채찍이라는 합작품으로 다시 불거진 현대문제가 어떤 식으로 수습될지 주목된다.

/ fncws@fnnews.com 최원석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