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고비넘긴 현대사태]자구노력 놓치면 예측불허 상황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7.27 04:50

수정 2014.11.07 13:39


한달만에 현대건설의 유동성위기가 다시 불거졌다. 일부에서는 1년전 ‘대우사태’ 망령을 떠올리고 있다.

금융권의 여신 회수 움직임과 신용등급 하향조정 등 밟아가는 수순이 흡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겉으로 비쳐지는 유사한 수순과는 달리 재무구조나 경제여건으로 볼때 현대그룹의 위기상황은 대우그룹 때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시장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특히 대우의 경우 그룹 해체가 처음부터 의도됐지만 현대그룹은 현대자동차의 계열분리를 핵심으로 하는 자구노력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현대그룹이 이같은 자구노력을 게을리 하거나 시기를 놓치게 되면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오너의 전횡, 구조조정의 미흡에 있어서는 닮은 꼴이라 현대가 구조조정을 게을리 한채 오너간 집안싸움에만 몰두할 경우 현대도 시장으로부터 감당할수 없는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용근 금감위원장은 26일 “현대건설의 유동성 위기는 지난 5월에 내놓은 자구계획을 시장에서 아직 믿지 못하고 있는데 원인이 있다”며 “현대는 시장이 신뢰할 만한 수준의 지배구조개선과 계열 분리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현대사태 해결의 핵심이 어디에 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 아닐수 없다.

대우그룹은 97년말부터 시작된 구조조정의 터널을 지나온후 99년 7월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취약한 재무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차입으로 겨우 연명하다 한계에 이른 것이다. 이로써 국내 60조원, 해외 30조원 등 90조원의 부채를 국가경제에 부담시켜 금융기관의 부실화, 국민부담의 증가 등의 멍에를 국가경제에 씌웠다.

그러나 현대는 자체 해결 능력이 어느정도 있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시각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대가 자기 돈은 동원하지 않고 채권금융기관에 자꾸 손을 벌리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회사채·CP 등이 전체 부채의 70%에 달하는 현대가 위기를 탈출하는 방법은 시장신뢰를 회복해 유가증권의 차환발행을 가능케 하는 일이며 신뢰회복은 철저한 구조조정에서 나온다는 것이 시장의 시각이다.


투신권의 한 관계자는 “현대문제는 현대건설의 일시적 유동성 위기일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문제”라며 “실질적인 구조조정을 보여야 하고 내부적으로 경영권 분쟁을 조속히 매듭짓지 않으면 심각한 사태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 donkey9@fnnews.com 정민구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