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한 물류비용과 경쟁력있는 상품 부재 등이 남북간 섬유경협 활성화를 더디게 하는 요소로 지목됐다. 또 투자보장협정 등 제도적 장치 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김정회 기획부장은 28일 ‘북한의 섬유산업과 대북 협력사업’ 이란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부장은 이 자료를 통해 “북한은 무관세제도와 인건비가 낮다는 강점이 있으나,화물운송료 등 높은 물류비 때문에 우리 업체들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천∼남포 물류수송비가 20ft컨테이너 한대당 900∼1000달러에 달해,인천∼톈진 250∼300달러나 인천∼홍콩 500달러에 비해 무려 2∼3배나 높다고 말했다.특히 남북한섬유류 위탁가공비용이 생산원가의 40%나 차지하고 있으며,선박의 실제 사용률도 37∼42%로 낮아 고물류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주로 1차 상품 중심인 남북간의 무역은 10년동안 유사한 상품이 거래됐고,신규상품 개발도 거의 없는 상태”라며 “이는 위탁가공이나 투자를 위한 우리나라 기업의 활동이 아직도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김부장은 이같은 문제점을 줄이고 섬유류의 대북경협특수를 누리기 위해서는 남북이 투자보장과 이중과세,분쟁조정,청산결제,산업재산권보호 등 제도적 장치의 세부 대책을 마련하고 SOC 등 공적 투자 재원조성,수출환경 개선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섬유 경협의 단계별 강화방안으로 △1단계=위탁가공무역 확대와 상호 기술인력 교류 △2단계=유휴설비의 이전을 통한 합작투자 및 단독투자 진출 △ 3단계=합작 및 단독투자의 본격화와 화섬,염색시설의 이전 순으로 이뤄지는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북한 섬유류 반출량은 98년보다 27.1% 늘어난 3600만달러를,반입량은 17.6% 증가한 4500만달러를 기록했다.
/ lmj@fnnews.com 이민종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