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현대중공업-현대전자 소송 파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7.28 04:51

수정 2014.11.07 13:37


현대중공업이 결국 법정까지 가는 강수를 둔 것은 정주영 전명예회장과 정몽준 현대중공업 고문간에 사전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현대주변에서 파악하고 있다. 정 전명예회장의 유일한 바람은 자신이 일궈논 현대그룹을 2세들이 경영을 잘해 더욱 번창시키는 것으로 요약된다.그러나 지난 5월 현대그룹의 모태인 현대건설이 유동성 위기에 빠져 부도위기까지 갔다.이때 정 전명예회장이 던진 수는 ‘3부자 동반퇴진’발표,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한편으로는 수익이 나는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를 통해 자금을 끌어들이고자 했다.3부자 동반퇴진 발표가 있기 하루전인 5월29일 정주영 전 명예회장은 현대중공업에 갖고 있던 지분 11.6%중 11.1%를 현대상선으로 넘겨 정몽헌 전회장의 영향권에 들어가게 했다.또 현대자동차의 지분을 9.1%로 늘려 최대주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정몽구 회장이 반기를 들고 ‘전문경영인 인정받기’에 나섰고 계열사에 대한 일체의 자금지원을 중단시켰다.또 정몽준 회장도 청운동 자택을 방문,불편한 심기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현대건설의 유동성 위기가 재연됐고 심지어 ‘현대그룹의 공멸설’까지 나오게 됐다.이에 정몽준 고문이 최근 여론의 힘을 얻어 이번 사태를 몰고온 것이 이익치 현대증권 회장이라고 간언한 것으로 알려졌다.또 현대그룹의 원로인 정세영 현대산업개발 명예회장과 정상영 KCC그룹 명예회장도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정 전명예회장은 청운동 자택에 머물며 형제간의 오해가 이익치 회장의 모색에 의해 발생했다는 명분을 얻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사전 정지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된다.책임자를 처벌하고 그룹의 신뢰도를 회복하는 것으로 이번 사태를 종결지을 것으로 재계는 관측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피고소인에 이익치 회장을 포함시킨 것이 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js333@fnnews.com 김종수
▲현대중공업 사외이사, 그들이 '칼'잡았다

현대 중공업이 현대전자를 대상으로 소송제기를 결정하기까지에는 사외이사들의 ‘막강한 힘’이 작용했다. 사외이사들은 캐나다왕립은행(CIBC) 지급보증 문제를 둘러싼 현대중공업과 현대전자간 다툼에서 100% 구상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소액주주들로부터 수천억원의 회사손실에 대한 책임을 져야할 상황에 이르자 이같은 강경결정을 밀어붙이게 됐다.

사외이사들은 현대전자와의 문제를 지난 19일 처음 접했다. 당초 이익치 현대증권회장은 조충휘 현대중공업 사장에게 중공업의 손실보전방안으로 현대엘리베이터의 어음을 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공업 사외이사들은 이를 거부,이회장은 다시 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의장 보유 현대전자 주식을 담보로 내놓겠다는 안을 내놨지만 이사들은 정의장의 보증을 요구,이회장은 일본출장중인 정의장에게 전화를 걸어 보증요청을 했으나 정의장이 이를 거부했다. 중공업 사외이사들은 “정의장의 보증 없는 주식담보제공은 이익치회장이 순간적인 위기모면을 위한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외이사들은 “지난 19∼24일 다섯차례나 열린 이사회에서 경영진은 자금회수가능성이 희박한 갖가지 방안을 제시하며 소송을 막으려 했다”고 덧붙였다. 사외이사들은 부도만은 피해야 한다는 경영진의 호소를 어느정도 받아들여 일단 돈을 지급하되 소송을 통해 대신 지급한 금액을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중공업의 한 사외이사는 “5일간 무려 30여시간의 이사회를 열며(사외이사들이) 최선을 다한 결과를 왕자의 난으로 비유한다면 사외이사들은 왕자들의 들러리란 말인가”라며 “주주와 회사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마땅한 해법을 이끌어 냈을 뿐”이라고 말했다.

/ lee2000@fnnews.com 이규석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