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금융기관들이 미주실업에 대한 추가 자금지원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미주실업이 퇴출과 회생의 중대기로에 몰렸다. 미주실업은 최대 주주인 박상희 중소기협중앙회장(민주당 의원)이 직접 나서 시중은행장들을 잇따라 만나는 등 구명활동을 벌이고 있으나 운명이 불투명한 상태.
4일 금융계에 따르면 미주실업 채권금융기관들은 5일 전체회의를 갖고 미주실업의 채무재조정 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지만 대부분의 채권단들이 미주실업의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다.
이와 관련 박상희회장은 3일 오후 김상훈 국민은행장을 만나 미주실업에 대한 지원을 부탁했다. 국민은행의 미주실업 총여신은 보증부여신을 포함해 145억원으로 대한주택보증·주택은행·조흥은행 다음으로 많다.
이번 채권단 회의에서는 ▲미주실업에 대한 채무재조정 추진 여부 ▲실사의뢰 여부 등 두 가지 안건이 상정된다.
그러나 채권금융기관의 한 관계자는 “미주실업의 자생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5일 회의에서 표결이 부결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미주실업이 부천지역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관급공사 등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워크아웃 기업으로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도 “미주실업의 회생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차입금 규모는 작지만 자구 노력과 실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이번 회의에서는 미주실업의 채무재조정 수용여부를 다시 판단하기 위해 미주실업에 대한 정밀 실사를 벌이고,미주실업측에 더 확실한 자구책 제시를 요구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정밀 실사기간은 2주 정도이기 때문에 미주실업의 생사여부도 이달중 최종 판가름나게 된다.
/
dhlim@fnnews.com 임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