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빛·외환·서울·평화 등 6월말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8%에 미달(잠재부실 100% 반영기준)되는 6개 은행과 공적자금이 투입된 조흥 등 7개 은행에 대해 9월말까지 경영정상화 계획을 제출토록 했다.
금융감독원은 6일 시중·지방은행들이 6월말 기준 BIS 자기자본비율을 지난 5일까지 모두 제출함에 따라 이의 적정성 점검을 위한 검사를 7일부터 1주일간 실시한다고 밝히고 7개 은행에 대해서는 경영정상화 계획 제출을 요구했다.
은행들 가운데 잠재손실을 100% 반영할 경우 BIS 자기자본비율이 8%에 미달하는 은행은 한빛은행을 비롯해 외환·서울·평화 등 4개 시중은행과 광주·제주 등 6개 은행으로 나타났으며 공적자금이 투입된 조흥은행은 8%가 넘는 것으로 보고됐다.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중 해외매각된 제일은행의 경우 자체 정상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며 서울은행의 경우 현재 도이체방크로부터 경영자문을 받고 있는 상태여서 경영정상화계획 제출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각 은행들이 제출하는 경영정상화계획에는 금융지주회사로의 편입이나 합병 수용여부,증자 및 외자유치,조직 및 인력감축,수익성 강화대책 등이 포함된다.
금감원은 경영정상화계획이 제출되면 독립적인 외부인사로 평가위원회를 구성,10월말까지 독자생존이 불투명한 은행에 대한 처리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다.
/
csky@fnnews.com 차상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