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단기외채의 증가를 경계한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8.07 04:53

수정 2014.11.07 13:28


총외채에서 차지하는 단기부채의 비중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경계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지난 6월 말 현재 1년 미만의 단기외채는 475억달러로 총외채 1420억달러의 33.4%에 달했다. 이같은 단기외채의 비중은 국제통화기금(IMF)관리체제 직후인 98년 3월의 34.7% 이후 2년여 만의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금액의 증가뿐이 아니라 그 추세가 줄곧 높아지고 있다는 데 있다.

물론 단기외채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나름대로의 긍정적인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경기회복에 따라 민간기업들이 원자재 등을 외상으로 수입하는 과정에서 무역신용이 늘어난 것은 단기외채증가의 가장 큰 요인이다. 국내은행의 대외신인도가 높아져 외화 차입한도가 늘어난 것도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단기외채의 비중이 높아지면 국제금융시장의 갑작스러운 변동이나 외부 충격에 대한 우리 경제의 대응 능력이 취약해지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현재의 단기외채 비중이 IMF사태 직전인 97년 6월의 57.2%에 훨씬 못 미친다 하더라도 자칫 제2의 환란으로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비상관리를 당부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최근의 국제금융시장의 동향은 외채관리에의 경각심을 더욱 불러오고 있다. 연일 최저가를 경신하고 있는 태국과 필리핀,인도네시아 등지에서의 통화가치 하락이 일본 엔화로까지 비화,3년 전에 몰아치던 아시아에서의 통화불안이 언제 재연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아무도 알 수 없는 미국경제의 연착륙여부도 우리 경제의 장래에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것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우리 증권시장에서의 외국인 투자 비율이 30%를 넘어 섰다는 사실 또한 우리의 외환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동남아시아에 환율불안이 몰아닥쳐 외국인 투자가들이 한꺼번에 주식시장을 떠나 버리면 우리의 환율운용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정부도 단기외채 증가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외화유동성 비육을 높이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그것이 얼마 만큼 효과를 나타낼지는 미지수다. 이미 한 달 전에도 비슷한 대책을 발표했으나 그 비중은 오히려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펀더멘털이 튼튼하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 미리 챙기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 만큼 현명한 일은 없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