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각에서도 JP의 몽니는 통했다. 집권 후반기 안정 의석 확보에 실패한 민주당은 한나라당과 뒷거래를 시도하는 등 얄밉고 야속하지만 정국 안정을 위해 자민련 인사를 내각에 발탁했다. 개각 불참을 선언한 자민련은 “굳이 싫다는데 억지로 준다면야…”라는 표정으로 이를 받았다.
이번 개각의 큰 특징은 김대중 대통령이 ‘8.7개각’을 통해 자민련 출신 인사들을 발탁함으로써 ‘DJP 공조’ 정신을 재확인했다는 점이다. 개각 대상 가운데 정치권 관련 인사는 송자 교육,노무현 해양수산부,한갑수 농림,신국환 산업자원부 장관과 장영철 노사정위원장 등 모두 5명.
이 가운데 민주당 21세기 국정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는 송자 교육부 장관과 노무현 해양수산부,장영철 노사정위원장은 민주당 당적을 가지고 있다.
김대통령이 자민련 당 자체보다 김명예총재 개인의 심기를 다독이는 데 더 공을 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각에서 정치인 몫 가운데 양당 인사가 6대4의 비율로 내각에 참여하게 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개각에서 김대통령은 민주당과 자민련 인사들을 고르게 포진시킴으로써 ‘DJP 공조정신’을 재확인하려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개각 불참’ 방침까지 밝힌 자민련은 “입각한 자민련 출신은 당적을 갖고 있는 신국환 산업자원부 장관 1명밖에 없다”며 표정 관리에 나섰다. 당의 한 관계자는 “한갑수 신임 농림부 장관은 광주출신으로 10대 의원 당시 공화당에 입당한 적은 있으나 자민련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인사”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청와대 박준영 대변인이 개각 발표 후 한장관을 신장관과 함께 ‘자민련 몫’이라고 설명한 점으로 미뤄 한장관은 당과는 직접 관련이 없지만 김명예총재의 추천으로 입각하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 pch@fnnews.com 박치형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