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금융기관 기강해이 실태]자고나면 금융사고…돈 맡기기 겁난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9.05 05:01

수정 2014.11.07 13:01


한빛은행 부당대출사건에 이어 중앙종금과 평화은행에서 횡령사고가 일어난 뒤 중앙신용협동조합에서도 60억원대 횡령사고가 터졌다. 전 금융권에 걸쳐 대형 금융사고가 잇따르자 예금자들은 어디에 돈을 맡겨야 할지 불안에 떨고 있다.

낙후된 금융시스템과 금융당국의 안이한 감독관리로 인한 예고된 사고였다는 것이 금융계의 시각이다. 금융감독원은 5일 경기도 부천의 중앙신용협동조합 직원이 고객 돈 64억원을 횡령하는 금융사고가 또다시 발생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중앙신협의 간부가 대출서류 위조와 인감도용 등의 수법으로 고객 예치금을 빼돌려 도주했다”며 “중앙신협의 총자산 규모가 200억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사고규모가 크다”고 말했다.

이달 들어 두번째,지난달 25일 한빛은행 사건 이후로는 열흘새 무려 4건에 800억원대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지난 7월 다른 사람의 사이버 증권계좌를 해킹해 주가를 조작, 400여만원의 시세차익을 챙긴 사건까지 포함하면 전 금융권에 걸쳐 광범위한 금융사고가 터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빛은행의 부정대출 사건이 발생한 것은 올해 초부터였다. 그러나 본점은 지난 1월 관악지점에 대한 수시감사에서 무담보 대출 비중이 높을 것을 확인하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중앙종금도 금융기관의 가장 핵심적인 전산시스템이 조작됐는데도 이를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그나마 고객이 대출상담을 해 오지 않았으면 이번에 적발되지 않았을 것이다. 평화은행에서는 여섯차례의 부정대출이 있었지만 본점은 전혀 눈치를 채지 못했다.

남의 돈을 만지는 금융기관 임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도 금융기관의 내부 통제시스템에는 큰 구멍이 있는 것이다.

금융기관을 관리·감독해야할 금융당국은 더욱 문제다.
금감원은 지난 3월 말 한빛은행을 비롯한 5개 시중은행에 대해 내부통제와 리스크관리실태 점검을 대대적으로 펼친 바 있다. 당시 금감원은 금융기관의 도덕적해이로 창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를 방지하는 관리체계가 제대로 구축돼 있는지를 중점 점검한다고 밝혔었다.
결국 금융당국도 형식적인 검사에 그쳤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 dhlim@fnnews.com 임대환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