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선인수 후정산' 해법 득실 논란]조기매각 가능·부실매각 우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09.18 05:05

수정 2014.11.07 12:53


정부와 채권단이 18일 대우차 해법으로 ‘선인수 후정산’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함에 따라 과연 이같은 방식이 가능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채권단은 일단 침체된 국내 경제를 살리고 대우차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입장이다.그러나 ‘선인수 후정산’ 방법을 통한 대우차 조기매각이 제일은행 매각에서 나타났듯이 줄 것 다주고 빈 껍데기만 남는 ‘부실매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선인수 후정산이란=‘선인수 후정산’ 방법은 원매자가 인수후 경영을 하면서 실사를 병행,발견되는 우발채무나 추가부실에 대해 처음 제시한 가격에서 빼나가는 방법.이럴 경우 채권단은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2개월 가량의 정밀실사와 최종 제안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정부도 대우사태에 따른 추가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특히 선인수 후정산 방법은 대우차 매각지연에 따른 가격 추가하락과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간도 최대한 단축시켜 조속한 정상화가 가능해진다.채권단 관계자는 “대우차 조기매각을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며 “현재 선인수 후정산 방법이 가장 유력하게 대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해 볼 가능성은 없는가=선인수 후정산은 말 그대로 먼저 경영권을 인수(예정)자에게 넘겨주는 것이다.이럴 경우 인수에 나선 원매자가 대우차의 회사가치를 얼마나 제대로 평가해줄지가 관건.일단 외형상으로 대우차는 8월말 현재 금융권(2금융권 포함) 부채가 11조6000억원에 달한다.문제는 인수자가 이같은 외형에만 집착,인수가액을 깎을 경우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따라서 은행 관계자들은 대우차의 ▲기존 판매조직망 ▲생산 노하우 ▲한국 자동차시장에 대한 일정 점유율 등을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보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이들은 특히 정부와 채권단이 대우차 조기매각에만 매달릴 경우 지난해 초 ‘뉴브리지 캐피털’에 매각된 제일은행 재판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선인수 후정산 방법으로 대우차가 매각될 경우 헐값에 팔릴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ykyi@fnnews.com 이영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