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가 3일 장충식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시작된 장 총재의 월간조선 10월호 인터뷰 사건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사건이 이처럼 확산되고 있는 것은 한적측이 성명이 나오자 ‘좀 더 두고 보자’며 관망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성명이 나온 다음날인 4일 ‘해명 서한’을 북측에 보내는 이중성을 보인데서 비롯됐다.
뿐만 아니라 북측 방송을 통해 이 서한이 만천하에 공개되고 나서야 ‘서한을 보낸 일이 있다’고 실토했다. 장 총재가 국정감사에서 “사과할 일은 아니고 시간이 지나면 북측이 이해할 것으로 본다”고 말한 코리아 타임스지는 7일 민주당 김운용 의원의 말을 인용, “장 총재가 북측에 해명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장 총재가 국감에서 한 말은 결국 북측이 이 ‘해명서한’을 받고 유야무야 넘어갈 줄 것으로 생각한데 따른 것이 아니겠느냐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대북 해명 서한을 둘러싼 이러한 잡음과 그리고 대북 협상에 임하는 남측의 신뢰가 실추된데 대한 책임을 누군가 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jongilk@fnnews.com 김종일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