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눈높이 경제-GDP와 GNI]경기동향 파악 중심지표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11.22 05:23

수정 2014.11.07 12:00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경제력이나 그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종합적으로 나타내주는 가장 대표적인 경제지표다. 이러한 국민소득통계는 생산의 포괄범위나 가격의 평가방법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소득(GNI), 국내총소득(GDI), 개인처분가능소득(PDI) 등 여러 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경기동향 파악 및 경제성과측정의 중심지표로서 GDP와 GNI라는 총량지표가 있다.

GDP란 ‘국내총생산’으로 한 나라안에 있는 가계·기업·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에 새로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금액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일정기간이란 통상 1년 또는 분기를 말하며 ‘새로이 생산한 가치’는 부가가치를 의미한다. 또한 금액평가시 당해기간의 가격으로 평가한 것을 명목GDP라 하며 특정연도(기준년)의 가격으로 평가하여 생산량의 변동만을 반영한 것을 실질GDP라 한다. 흔히 지표경기의 주요 잣대로 이용되고 있는 경제성장률은 바로 실질GDP의 증감률을 의미한다.


반면, GNI는 국민총소득으로 한 나라 국민이 일정기간동안 벌어들인 총소득을 말하며 이는 종전에 소득지표로 사용된 국민총생산(GNP)보다 더 확충된 개념의 소득지표이다. 여기에도 명목과 실질 두 개념이 있는데 보다 중요한 것은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개념의 GNI이다.

과거에 소득지표로 사용된 GNP가 GDP에 국가간 요소소득(자본·노동)의 수취와 지급의 차이만을 감안한 데 비해 실질GNI는 실질GNP에 교역조건(수출입 상대가격)의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까지 포괄함으로써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보다 정확히 반영해 주고 있어 보통 체감경기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교역조건의 변화는 생산 및 소비에 영향을 주고 이는 결국 국민의 소득수준 즉 후생수준의 변화를 가져온다. 다시 말해 교역조건이 불리해지면 일정량의 상품을 수출하여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국민이 소비하거나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이 줄어들어 경제적 후생 즉 실질소득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교역조건이 좋아지면 실질소득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은 국가간의 거래에서 교역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실질소득의 국외유출 또는 국내유입을 의미하며 지표경기와 체감경기간의 주된 괴리요인으로 작용한다.


올해 2·4분기중 실질 GDP 성장률은 9.6%에 달했으나 실질 GNI 증가율은 교역조건악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실 발생으로 1.8% 증가에 그쳐 높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는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성규 한국은행 국민소득통계팀 선임조사역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