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문가의견]강병중 부산상의회장·박인호 부산외대 경제학교수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11.23 05:23

수정 2014.11.07 11:59



◆ ˝항만 활성화 물류도시 육성을˝

최근 대우자동차 부도에 따른 협력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위해 강병중 부산상공회의소 회장(61)은 분초를 쪼개쓸 만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 94년 제15대 회장에 선임된 이후 3선으로 올 3월 제17대 부산상의 회장에 취임한 그는 부산경제 회생이라는 숙원해결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경제의 현상황을 어떻게 보나.

▲실업률이 계속 전국 최고를 기록하는 등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더욱이 대우차 부도로 지역 협력업체들이 자금난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관계당국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주가지수선물 이관에 대한 견해는.

▲주가지수선물을 부산에 이관키로 한 것은 다행이지만 오는 2004년 1월로 발표된 이관 시기가 우리측 요구 보다 늦어 유감이다.
그 동안 우리는 현 정권 임기내 이관이 가장 좋다고 보고 오는 2002년 6월까지 이관해 줄 것을 요구해 왔다. 앞으로 이관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재협상을 벌여 나가겠다.

―전국 최악인 부산경제를 살리기 위한 방안은.

▲우리 부산경제도 서울을 의식하던 관행에서 과감히 벗어나 세계제일을 향해 당당히 나설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먼저 국제적인 항만기능을 최대한 살려 부산을 국제물류중심도시로 육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신항만의 조기 건설과 관세자유지역 지정, 국제항공노선 증설, 한국선물거래소의 조기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또 낙후된 산업구조를 고도화시켜야 한다. 르노삼성차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 및 부품산업을 육성하고 지역특화 산업인 신발·의류·조선기자재 산업의 공동화 사업추진 및 정보통신기술과의 접목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특히 선물거래소 사옥이 새로 들어설 문현동 금융타워를 여의도에 버금가는 국제금융타워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부산경제를 살리기 위해 부산상의의 역할은 무엇인가.

▲우리 기업들이 디지털시대에 적응,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보화사업 지원을 강화하고 대기업 본사 및 공장의 부산 유치에도 적극 나서겠다.

/강병중 부산상의 회장
/jkyoon@fnnews.com 윤정규기자
◆ ˝中·日도시간 경제권 형성해야˝

생산활동지수 등은 전국 대비 가장 낮은 반면 부산 실업률은 9월 현재 6.1%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실업률이 6% 넘는 도시는 한 곳도 없다. 도시경제학상으로 실업률이 6%를 넘어서면 사회문제가 된다.

부산에서 조성자금 연간 46조원 중 78%가 서울 등으로 역외유출되고 젊은 인재들도 서울로 계속 빠져 나가고 있다. 향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고급인재들의 유출이 더 많아 질 것이다. 자금 및 인력 등의 서울집중 피해가 가장 큰 곳이 부산이다.

현재 부산은 제조업 공동화 현상을 빚고 있고 유통의 도매기능도 없다. 결국 부산은 소비도시로 전락하거나 체감경기가 한계에 도달할 것이다. 그 원인은 부산이 불필요하게 장기간 성장억제도시로 묶여 그 동안 제조업이 들어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 부산이 경공업체제에 너무 안주하는 등 산업구조 개편에 소홀히 했다. 정부 역시 부산의 항만·공항·공단 등에 전략적 투자를 등한시 해 왔다. 이 때문에 인구 및 시장규모면에서나 항만도시 국제관문도시로서 부산의 엄청난 잠재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해 결국 국가 경쟁력까지 약화시키고 말았다.

그 대책으로는 정부가 부산을 다른 도시와 비교하지 말고 전략도시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 즉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라도 부산을 서울과 함께‘투톱도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제2 도시인 부산이 살아야 국가도 살기 때문에 특단의 투자가 필요하다. 국제관문도시이자 국경도시인 부산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선 부산항 자치제와 부산공항의 대폭 확장이 시급하다.


부산시 역시 대정부 설득력이 있고 실현성이 있는 청사진을 마련해야 하며 부산이 상업도시인지 산업도시인지 도시의 발전목표 성격을 분명히 해야 한다. 또 중앙에 의존하기 보다는 자체적으로 일본 규슈와 중국 상하이 등 인근 해양도시와 경제권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치단체와 경제단체 등 역시 부산 경제회생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박인호 부산외국어대 경제학 교수
/ jkyoon@fnnews.com 윤정규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