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컨설팅 파일] ´퇴출기업 인력銀´ 만들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11.30 05:25

수정 2014.11.07 11:56


‘11·3 퇴출’로 해당기업 직원들의 대량실직이 우려된다.그러나 기업이 퇴출된다고 해서 종업원까지 퇴출돼야 할 이유는 없다.기업이나 경영이 부실한 것이지 직원들이 부실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오히려 이들은 각자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현장경험이 체화된 숙련인력이라는 점에서 산업에 꼭 필요한 인적자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같은 대대적 실업난 속에서도 일손을 구하는 구인난이 빚어지고 있다.3D 분야말고도 일부 기능 및 기술직종을 중심으로 우수인력을 확보하지 못해 애태우는 중소기업이 의외로 많다.이같은 현상은 중소기업 근무를 꺼리는 일부 근로자의 편견도 크게 작용하겠지만, 적지않은 경우 자신을 필요로 하는 적재적소의 일터를 찾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에서 비롯된다.

새로운 일터를 찾는 퇴출기업 실직인력과 새로운 인재를 원하는 기업의 정보를 관리하고 구인구직을 연결해 주는 ‘인력은행’의 필요성이 절실하다.많은 비용투자를 하지 않고도 실업난, 구인난 해소는 물론 인력 재활용에 따라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일거삼득’의 효과를 볼 수 있다.이는 구태여 정부가 나서지 않아도 민간단체나 해당기업의 인력관리부서 차원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한 사업이다.다만 지체돼서는 곤란하다.인력도 설비자산과 마찬가지로 진부화와 감가상각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오래 방치되면 시대변화에 뒤지고 능력과 효용이 저하되게 마련이다.구조조정기를 맞아 부실은행 퇴출은 조기에 이뤄져야 하겠지만, 동시에 인력은행 설립도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

/권의종(신용보증기금 홍보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