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이 ‘공기업’이라는 웃옷을 벗은지 2개월 여가 지났다. 창사 32년만의 대변화다. 그런만큼 포항제철소, 광양제철소를 비롯한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 근무중인 포철 직원들에게도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가 엿보인다.
물론 하루의 일상에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그러나 임직원들 의식은 분명 달라지고 있다. 우선 눈에 띄는 점은 자신만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위한 ‘자기개발’의 욕구다. 영업부의 한 직원은 “이제는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는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이다. 때문에 자기능력을 발휘하고 이에 상응하는 보상이나 반대급부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조금씩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경영방침’의 변화도 감지된다. 기존 ‘국민경제, 국민기업’이라는 부담을 하루아침에 털어내지는 못하고 있지만 서서히 민간기업 특유의 ‘주주가치 극대화’로 초점을 옮겨가고 있다. 그 동안 공기업이기에 다소 간과했던 ‘주주이익’을 위하고 경영패턴도 ‘방어적 패턴’에서 고객을 찾는 능동적 경영으로 탈바꿈을 하고 있다는 게 포철 관계자의 설명이다.
유상부 회장의 ‘뚝심경영 탈피론’도 이와 무관치 않은 대목이다. 유회장은 최근 직원들에게 “이제 뚝심경영의 시대는 갔다.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철 관계자는 “과거에는 수익이 많이 난다고 해서 비난을 받기도 했다. 또 일처리 자체가 나중에 받게 될 국정감사 등 각종 감사를 대비하는 ‘근거’중심으로 흐르다보니 비효율적인 측면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는 각종 부담에서 벗아나니 한결 일처리가 수월해졌다는 말들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포철 직원들은 더이상 공기업이 아니라는 점을 자신있게 강조한다. 한 직원은 “공기업이라는 범주에서 포철 자체가 거론되지 않았으면 한다. 포철은 이제 엄연한 민간기업”이라고 말했다.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해 상당수 공기업들이 민영화추진에 반감을 표하는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그도 그럴것이 최근 정부와 마찰을 빚고있는 일부 공기업의 경우 ‘경영방만’이라는 이유로 민영화를 추진중인데 반해 포철의 경우는 이른바 모범적인 ‘공기업 민영화 모델 만들기’차원에서 비롯됐다. 그런만큼 포철 직원들 역시 이에 적극 동참했고 오히려 민영화 지연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
lee2000@fnnews.com 이규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