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權퇴진론­´ DJ 직접 진화…신·구세력간 갈등은 여전


정동영 최고위원의 ‘권노갑 최고위원 퇴진’ 발언을 계기로 불거진 민주당 내홍이 7일 일단 ‘미완의 봉합’으로 가닥이 잡히는 양상이다. 그러나 현 여권의 역학구도상 갈등은 언제든지 재연될 소지가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동교동계 퇴진론’의 발단=이번 파문의 직접적인 발단은 지난 2일 청와대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단 회의에서 정동영 최고위원이 권노갑 위원의 2선 퇴진을 건의하면서 시작됐다. 정 위원의 건의 배경에는 당내 쇄신을 줄기차게 주장해온 개혁적 초선의원들의 뜻이 담겨 있다.

김태홍·김성호 의원을 비롯한 초선의원 10여명은 연말 당정개편을 앞두고 지난주 잇따라 모임을 갖고 권 위원을 비롯한 동교동계의 퇴진 등 인적·시스템의 변화 없이는 진정한 당 쇄신이 이뤄질 수 없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이같은 뜻을 정 위원에게 전달했다.

◇권력다툼 비화 및 수습 국면=정 위원의 주장이 알려지면서 권 위원측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권 위원측은 ‘동교동계 퇴진’을 주장한 정 위원과 초선의원들이 한화갑 최고위원과 가깝다는 점을 들어 배후로 한 위원을 지목함으로써 이번 사태가 양진영의 ‘권력 다툼’ 양상으로 전개됐다. 지난 8·30 전당대회를 전후로 수면아래 잠복해있던 ‘양갑(甲)’의 갈등구도가 다시 재연되는 듯 했다.

정 위원과 초선의원들은 자신들의 의도가 왜곡·변질되고 있다는 판단아래 후속대응을 자제한채 관망자세로 돌아섰고 일본에 나가있는 한 위원측도 억울함을 호소하며 초선의원들의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격앙돼 있던 권 위원측도 6일 김대중 대통령의 자제당부 소식이 전해지면서 반격의 수위를 낮췄다. 권 위원은 7일로 예정된 기자회견을 취소하고 대신 성명을 통해 “한 위원과의 갈등은 사실이 아니며 지금은 국정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당이 단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전망=이번 사태는 국정운영 방식을 둘러싼 동교동계와 신진세력간의 이견,양갑 진영의 불신,그리고 차기 대권을 겨냥한 당권경쟁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특히 지난 4·13 총선을 계기로 동교동계 중심의 당내 세력분포가 386세대 및 전문직종 출신의 개혁적 신진인사들이 대거 원내에 진입함으로써 크게 바뀌었고 개혁세력의 힘을 바탕으로한 ‘세대교체’가 예고돼 왔다.

김 대통령이 직접 진화에 나서 이번 사태는 수습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이는 일시적이고 표면적인 미완의 봉합에 불과하다는 것이 정설이다. 특히 연말로 예정된 당정개편과 차기대권을 노리고 내년부터 더욱 본격화될 당권경쟁을 전후해 이같은 갈등은 언제든지 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 pch@fnnews.com 박치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