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연말 당정개편을 계기로 현 정부 출범 초기와 같은 ‘2여 공동정부’ 수준의 DJP 공조관계 복원을 적극 추진중인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여권은 이를 위해 11일 개회되는 임시국회에서 자민련의 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토록 국회법개정안을 반드시 처리하고 당정개편때 자민련 현역의원 1∼2명의 입각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굳혔다. 이에 따라 여권은 한나라당이 제출한 사회권이양 관련 국회법 개정안과의 연계처리 등 다각적인 대야 협상카드를 검토,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귀국한 뒤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와 가질 여야 영수회담에서 국회법 개정안 문제를 타결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 김 대통령은 여권진용을 쇄신하기 위한 당정개편에 앞서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와 회동,DJP 공조복원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민주당은 지난달 21일 검찰 탄핵안 파동후 가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자민련과의 공조복원을 향후 정국운영의 핵심전략으로 정하고 서영훈 대표와 자민련 김종호 총재권한대행간 면담 등을 통해 연내 국회법 개정안처리에 합의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4·13 총선후 지금까지 국회를 운영해본 결과 소수당의 한계를 절감하고 있다”며 “앞으로 국회 운영을 위해선 정계개편을 하지 않는 한 DJP 공조를 현정부 초기 수준으로 복원, 사실상의 다수당을 만드는 방법 외에 달리 선택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자민련 의원의 입각 문제와 관련, “현재의 구도로는 대 자민련과의 2여공조가 어려운 상태”라며 “자민련 현역의원 1∼2명의 입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국회법 개정안과 관련, 서영훈 대표와 김종호 대행은 지난 8일 회동에서 연내처리를 재확인했으며, 이 회동후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는 한나라당이 ‘표결처리’에 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seokjang@fnnews.com 조석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