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대안은 뭔가]첨단과학등 2차산업 육성 물류중심 이점도 살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0.12.14 05:29

수정 2014.11.07 11:47


3차산업 위주로 발전해온 대전 경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조업과 첨단 과학산업 등 2차산업의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

특히 첨단 과학산업의 핵심인 정보기술과 생명공학 관련 벤처기업을 적극 육성해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덕밸리를 중심으로 창업에 열중하고 있는 벤처기업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을 쏟아부어야 한다.

대전을 사실 첨단 과학기술 도시로서 훌륭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의 두뇌집단외에도 지식기반 산업에 꼭 있어야 할 특허청과 특허법원 등이 입주해 있고, 통계청 중소기업청 등 각종 경제관련 정부기관도 들어서 있다.

수도권과 가깝고 서울과 영·호남을 잇는 교통·물류의 중심지라는 것도 투자유치에 매력적인 요소다.
이미 350여개 벤처기업이 대덕연구단지를 기반으로 창업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지시텍, 하이퍼정보통신 등 크게 성공한 기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대전시도 지난 9월 대덕밸리 선포식을 갖는 등 경제정책의 초점을 벤처기업 및 신산업 육성에 맞추고 있다.

대전시가 전략산업으로 구상하고 있는 신산업분야는 생물산업(BT)과 정보통신산업(IT) 육성이다. 특히 대전을 바이오메카로 구축하기 위해 대덕연구단지의 5만5000평부지에 1691억원을 투입해 바이오벤처타운 및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생물산업진흥원과 생물산어고등기술원도 설립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될 경우 연간 4410억원의 생산증가와 1826억원의 부가가치창출,5600명의 고용효과를 거두게 된다고 대전시는 밝히고 있다.

온라인 닷컴 기업을 중심으로 구성된 서울의 테헤란밸리와 철저히 차별화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이같은 대전시의 계획도 중앙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자칫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현실을 안고 있다.

대전상공회의소 김남철 조사과장(44)은 “지금까지 정부가 산업정책을 지역 여건에 맞게 펼치기 보다는 나눠먹기식으로 조정하는 경향이 많았다”며 “바로 이러한 행태가 우리경제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30년 가까이 수십조원을 투자해온 대덕연구단지가 그동안 연구기능밖에 수행하지 못해온 것은 정부의 안목부재가 빚은 안타까운 사례”라고 주장했다.

뒤늦게나마 대덕밸리선포식을 갖기는 했지만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뒤따르게 된다면 대덕밸리는 연구기능에 생산기능을 첨가하게 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발전해 나갈수 있다는 것이다.


즉 대덕밸리를 중심으로 현재의 350개에 이르는 벤처기업이 오는 2005년에는 2500개에 이르게 되고 이들기업의 매출액도 99년기준 3000억원에서 2∼3년후에는 1조원이 넘는 등 질적변화가 예상된다.

/ jgkim@fnnews.com 김재규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