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금융시장 불안 심화…6개銀 22일부터 총파업


은행권 파업이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기업·금융구조조정의 연내 완결방침에 중대한 차질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국민 주택 평화 광주 제주 경남 등 6개은행이 22일 부터 일제히 파업에 돌입키로 하고 이에 정부가 엄중 대응키로 하면서 노·정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이로인해 가뜩이나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불안감이 심화되고 있음은 물론 정부의 금융구조조정 연내 완결목표도 달성이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은행 파업이 확산될 경우 구조조정기업들에 대한 은행들의 지원작업이 늦어질수 밖에 없어서 기업구조조정작업에도 동반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부와 해당은행들은 총파업강도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다 파업에 대비한 만반의 준비도 했기 때문에 ‘정면돌파’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국민·주택은행의 외국계 대주주가 합병협상을 일시 중단한채 철수하고 주가와 미국달러화에 대한 원화가치가 급락하는 등 그 후유증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게다가 오는 28일에는 나머지 은행들도 총파업에 가세할 예정이어서 6개은행의 선도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그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주택은행 노조는 합병추진을 봉쇄한다는 이유로,평화 광주 경남 제주등 4개 은행은 정부주도의 금융지주회사 강제편입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22일 오전 9시부터 일제히 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특히 이같은 총파업 움직임에도 불구, 정부와 해당은행 경영진은 ‘합병 및 통합을 강행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노·사·정간 접점을 찾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파업열기는 은행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파업강도가 얼마나 클지는 22일에나 파악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21일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6개은행의 파업을 ‘불법’으로 간주, 공권력을 조기에 투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가뜩이나 연말 자금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불법파업을 묵인할 경우 우리경제전체가 더욱 곤란해지고 나아고 연내 완결키로 한 기업,금융구조조정에도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은행파업을 조기 매듭짓는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라고 밝혔다.

/ fncws@fnnews.com 최원석·박희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