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투신권 퇴직신탁시장서 맥 못춘다…보험·은행 기득권 심해 고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1.01.05 05:36

수정 2014.11.07 16:48


투자신탁회사들이 퇴직신탁 시장에서 ‘왕따’를 당하고 있다.

퇴직신탁상품은 지난해 11월 투신권에 허용되면서 ‘펀드의 장기화’를 이룰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현재까지 판매액은 미미한 편이다.

5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한국 현대 동원BNP 한일투신운용 등 4개사가 퇴직신탁상품을 운용하고 있으나 3일 현재 판매액은 4개사 모두 합쳐 150억원 가량에 불과하다.

운용사별로는 동원BNP투신운용이 80억원으로 가장 많고 현대가 67억원으로 뒤를 잇고 있다. 한국투신운용과 한일투신운용은 설정액이 1억원에 머물고 있다.

반면 생명보험사들은 지난 12월 한달 동안 삼성생명 8021억원,교보생명 6928억원,대한생명 2358억원 등 총 2조2700억원의 퇴직보험 수신고를 올렸다.
후발주자인 은행도 퇴직신탁에서 하나은행 1297억원,한미은행 934억원,외환은행 689억원 등 시중 10개 은행이 총 4624억원의 수신고를 올려 보험사들의 텃밭을 잠식하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퇴직신탁은 장기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받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투신권에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1년도 못돼 만기를 맞는 일반 펀드에 비해 20∼30년간 장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펀드의 장기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신권이 퇴직신탁시장에서 고전하는 이유는 원금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과 은행 및 보험사들의 ‘기득권’ 때문.

기업들이 원금손실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투신운용사보다는 보험이나 은행을 선호하고 있다. 또 퇴직신탁계약과 은행 및 보험사의 기업대출이 연계돼 있는 경우가 많아 투신권이 그 틈을 비집고 들어가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투신 한 관계자는 “투신운용사의 퇴직신탁상품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며 “단기투자에 주력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인식변화도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jgkang@fnnews.com 강종구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