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부시의 아시아 정책―대북접근 강경해질까]˝회담―식량 맞교환 없다˝

곽인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1.01.25 05:41

수정 2014.11.07 16:27


아시아에서 부시가 직면한 큰 과제는 북한이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북한 방문을 포기했다. 클린턴의 결정으로 미국의 대북 협상은 꽤 오랫동안 공백기를 맞을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부시 행정부가 대북 관계를 재검토하는 데 최장 1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본다.

분석가들은 부시 행정부가 전 행정부보다 북한을 차갑게 대할 것으로 믿고 있다.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방차관보는 지난 9월 북한이 분위기만 잡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북한이 한반도 긴장을 완화할 구체적인 ‘군사적 제스처’를 보일 때까지 미국이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관계연구소(CFR)의 로버트 매닝은 “부시가 회담과 식량을 교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부시는 ‘거래를 원한다면 얘기하자. 그러나 원치 않는다면 여기 우리 전화번호가 있으니 연락하라’는 식으로 접근할 것”이라고 매닝은 말했다.

분석가들은 새 행정부의 출범이 대북관계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북한 전문가 니컬러스 에버슈타트는 북한이 새 행정부의 달라진 정책에 적대적으로 나올 경우 부시팀이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평양이 근본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한 더 잦은 마찰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브루킹스연구소의 조엘 위트는 결국 부시도 클린턴과 유사한 대북 접근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한다. 그는 “6개월 뒤면 새 행정부도 클린턴이 했던 일을 반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목적을 이루려면 뭔가 대가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공화당이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팀이 한국과의 공조를 고려해 대북 포용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믿는 전문가들도 있다.
CFR의 마이클 그린은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에 대해 언급하면서 “우방과의 긴밀한 공조에 충실하려면 한국이 주도권을 행사하도록 놔둬야 한다”고 말했다.

/ paulk@fnnews.com 곽인찬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