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세계적인 경제블록화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무역상대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장재식 산업자원부 장관은 3일 청와대에서 김대중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출업체 격려 간담회’에서 이같은 방침을 보고하고 하반기에 무역협회 주도로 FTA 관련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장장관은 “세계적으로 FTA를 맺은 국가가 170여개국에 달하고 지역 블록화 추세가 급진전됨에 따라 FTA 체결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현재 협상중인 칠레 외에 업계 의견을 모아 추가로 FTA를 맺을 필요가 있는 국가를 선정하고 FTA에 대응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을 수립하는 한편 지역경제권 참여에 대한 구체안을 마련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세계 경기의 불황과 불확실성에 따라 보호주의 움직임이 강화되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과의 통상마찰 요인이 늘고 있다”면서 “고립화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또 수출관련 기술개발을 돕기 위해 현재 각각 연 6.0%와 6.75%인 산업기반자금과 중소기업진흥기금의 금리를 내리는 방안도 적극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난 3월 이후 무역흑자는 확대되고 있으나 수출이 감소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무역투자진흥대책회의를 정례화해 주재함으로써 민·관·연구소 등이 합심해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msk@fnnews.com 민석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