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국회 정상화 가닥 잡히나


이만섭 국회의장이 10일 민생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직권소집 방침을 거듭 밝힌 데 이어 일본의 역사교과서 수정 거부에 대한 국회차원의 공동대응 필요성이 고조되면서 ‘7월 국회 정상화’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특히 우여곡절끝에 7월 국회들어 처음으로 문화관광위가 개회한데 이어 여야가 총무회담을 갖고 본격적인 의사일정 조율에 들어가 귀추가 주목된다.

이의장은 이날 “민생현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직권소집 방침을 여야에 통보한 만큼 3당 총무가 국회일정과 관련한 타협안을 도출할 것으로 본다”면서 “만약 타협이 되지 않을 경우 직권으로 본회의를 열어 건축사법 개정안 등을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상규 사무총장과 한나라당 김기배 사무총장도 이날 오전 별도의 전화접촉을 갖고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한 공동대응의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 하고 총무회담을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이 가운데 국회 문화관광위는 이날 오후 김한길 문화부장관과 조홍규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금강산 관광사업 이면합의설 등을 집중 추궁했다. 여야는 앞으로도 통일외교통상위(11일), 국방위(12일), 재경위(13일) 등 일부 상임위를 부분 가동할 방침이다.

그러나 7월 국회가 완전 정상화되기까지는 앞으로 넘어야할 산들이 너무 많다는 게 중론이다.
여야는 이날 총무 및 수석부총무 접촉을 잇따라 갖고 임시국회 일정에 대한 절충에 나섰지만 서로간의 입장차가 적지 않아 진통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이상수 총무는 “의장이 직권으로 소집해봐야 야당이 불응할 것이므로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7월은 쉬면서 냉각기를 갖고 8월중 검찰수사가 끝나야 국회정상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박승국 수석부총무는 “6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처리하지 못한 5개 법안과 결의안을 처리하면서 언론사 세무조사, 황장엽씨 방미문제, 한·일간 꽁치조업 분쟁,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 등에 대한 긴급현안질의를 받아들이면 본회의를 하루 열 수 있다”고 말했다.

/박치형 서지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