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고합 처리’ 빨리 결론 내려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1.07.17 06:29

수정 2014.11.07 13:28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중인 고합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채권단이 거부함으로써 고합 처리가 다시 불투명해졌다. 한빛은행과 산업은행이 채권단 사전회의를 열어 채권기관별 의견조율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비록 경영정상화 방안이 부결되기는 했어도 당장 청산 퇴출 등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는 것은 아니다.그러나 채권단의 기본입장이 ‘경영정상화를 통한 회생’이라면 그에 걸맞은 결단을 빨리 내리는 것이 정도다.

채권단이 부결시킨 고합 경영정상화 방안의 골자는 사업구조조정을 통해 핵심사업(유화)과 비핵심사업(화섬)으로 분리하고, 3조원이 넘는 고합 부채 가운데 1조원을 출자로 전환해 핵심사업을 지원하자는 것이다.그러나 채권단이 이를 거부한 것은 지금까지 고합의 자구노력이 1조원의 출자전환과 사업구조정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고 본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고합에 대한 채권단의 불신이 그만큼 깊다는 뜻이다.


작년말 현재 자본잠식이 5299억원이나 되고 총자산(2조 4389억원)과 총차입금(2조 4271억원)이 엇비슷한 고합은 당기 순손실이 매출액(1조 2549억원)보다 118억원이나 많은 1조 2667억원에 이른다.이런 상태에서 1조원의 출자전환이 이루어지더라도 경영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은 당연한 결론이다.물론 지난 97년 워크아웃에 들어간 이래 고합은 나름대로 자구노력을 계속해 온 것은 사실이다. 또 두차례에 걸친 출자전환으로 채무부담도 상당부분 해소되어 현재 6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고 2004년까지의 현금흐름에도 별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합의 울산공장은 노조 파업으로 가동이 중단되었으며 계열사인 고합 종합건설에 대한 53억원의 빚보증을 기한내에 해소하지 못해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또 중국으로 생산설비를 옮기려던 계획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여전히 오너가 경영에 간섭하고 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이러고도 채권단의 협조를 기대한다면 뻔뻔스럽기 짝이 없는 일이다.


이제 공은 고합측으로 넘어간 상태다.이는 채권단의 결단을 촉구하기 전에 고합 노사는 기업회생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어야 할 시점에 서 있음을 의미한다.
채권단 역시 이에 따라 조속히 결론을 내려 매듭을 지어야 할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