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제조업 30% 이자도 못내]기업구조조정 문제있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1.07.20 06:30

수정 2014.11.07 13:25


영업해서 번 돈으로 금융비용조차 내지 못한 기업이 지난 99년보다 더 늘었다는 것은 기업구조조정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실감케 해준다. 지난해와 올해 정부는 ‘기업구조조정만이 살 길’이라며 막대한 공적자금을 쏟아부어가면서 줄기차게 회생불가기업을 퇴출시켰지만 부실 기업은 오히려 더 늘어나기만 했다.

특히 전체적인 기업 현금흐름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기업들이 늘어난다는 것은 기업간 현금흐름에 있어서도 ‘부익부 빈익빈’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증거다.

한국은행은 이같은 악순환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자비용도 벌지 못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시기업구조조정을 더욱 가속화하는 수밖에 없다고 주문했다.

◇넉넉해진 기업들 자금사정=전체적으로 볼 때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많이 호전됐다. 지난해 국내 제조업체들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평균 현금수입은 104억7500만원에 달했다. 이는 비록 지난 99년(115억4400만원)보다 다소 줄어든 것이긴 하지만 34억원에 그쳤던 97년에 비하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95∼97년 평균금액(48억5000만원)의 2배가 넘는 규모이기도 하다.
더구나 지난 96년 이후 계속 감소해 왔던 투자활동에 대한 현금지출이 지난해에는 업체당 평균 91억4000만원을 기록, 99년과 비교할 때 21.4%(91억3600만원)가 늘었다. 이는 기업들의 투자가 서서히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유형자산에 대한 현금투자는 업체당 평균 68억5000만원으로 지난 99년(48억4000만원)보다 41.4% 증가했다.

◇이자비용조차 못버는 기업도 늘어=기업들의 현금사정이 전체적으로 호전된 가운데서도 금융비용조차 벌지 못하는 업체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정부가 구조조정 ‘칼날’을 휘둘렀던 지난해에도 이런 기업이 늘어났다는 것은 정부의 기업구조조정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음을 짐작케 해주는 대목이다.

더구나 금융비용은 고사하고 아예 영업손실을 기록한 업체 비중을 나타내는 ‘금융비용보상비율 0% 미만’인 기업도 99년 13.1%에서 지난해엔 19.8%로 늘었다. 또 차입금 원금조차 상환할 능력이 없음을 나타내는 ‘현금보상비율 0%미만’ 기업들도 99년 13.2%에서 지난해에는 20.0%로 6.8%포인트 증가했다.

대기업들도 예외는 아니다. 4대그룹 계열사 가운데 금융비용보상비율 100%가 안되는 기업이 5군데나 됐고 30대그룹 계열사 가운데도 32곳이 금융비용조차 벌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구조조정만이 해결책=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상시 기업구조정 시스템은 우선 금융비용조차 벌지 못하는 기업들에게 우선 적용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비용보상비율이 기업의 실제 현금흐름을 토대로 산출돼 실질적인 기업 자금 상황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 기업은 최우선 구조조정 대상이라는 지적이다.


정정호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선진국에서 금융비용보상비율은 손익계산서보다 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된다”며 “개별기업별로 볼 때 이같이 금융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상시 구조조정을 통해 하루속히 퇴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 dhlim@fnnews.com 임대환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