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소강국면을 보이던 여야간 정치 공방이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가계의 행적문제로 불거져 김대중 대통령의 일본 은사발언 공방으로 다시 확전되고 있다.
한나라당 김기배 사무총장은 지난달 31일 민주당이 당보를 통해 이총재 부친의 친일행적 의혹을 제기한데 대해 “여당이 겉으로는 정쟁중단을 주장하면서 저열한 정치공세를 펴는 데 참고있을 수 없다”고 대여 포문을 재개했다.
권철현 대변인은 특히 “지난해 10월 14일 일본 아시아 신문에서는 김대중대통령의 일제하 목포상고 재학시절 담임 선생이었던 분이 김 대통령이 당선이후에도 내게 전화를 걸어 일제때 창씨개명한 일본 이름을 일본말로 말해서 감격했으면서도 어색했었다는 기사가 보도됐다”며 김대통령의 친일 감정을 겨냥했다.
이에 민주당 전용학 대변인은 오전 4역회의후 브리핑에서 “당보인 만큼당의 입장이 아니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8·15 광복절을 앞두고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 등으로 국민들의 대일감정이 격앙된 상황에서 일본 문제를 한번 되돌아볼 필요 때문에 기획된 것”이라며 “따라서 최근 정국상황을 반영해 제작된 것은 아니다”고 ‘대야 공격용’이 아니라는 점을 해명했다.
한편 민주당은 최근호 당보를 통해 “만약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부친이 일제말기에 검찰서기를 했다면 독립투사를 탄압했음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라며 “이 총재는 대선 출마전에 부친의 일제하 친일행적에 대해 국민 앞에서 검증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김희선 의원의 인터뷰 기사를 게재했다.
/박치형 서지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