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경제를 부활시키는 견인차.’
21세기 부산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갈 최첨단 디지털단지 ‘센텀시티(Centum City)’ 공사가 한창이다.
센텀시티는 부산시 해운대구 옛 수영비행장터 35만여평에 정보통신과 영상, 엔터테인먼트, 국제 비즈니스 등 다양한 복합시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심속의 첨단 디지털 단지로 계획돼 있다.
지난해 11월 센텀시티 인프라 공사에 들어간 것을 시작으로 오는 2010년까지 순차적으로 개발될 센텀시티는 부산의 산업구조를 디지털산업으로 재편하는 것은 물론 빈사상태에 있는 부산 경제를 되살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부산시는 이 사업이 빈사상태에 빠진 부산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확신으로 3대 밀레니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어떻게 진행됐나=지난 90년대 들어 부산의 주력산업인 신발산업이 무너지면서 지역 경제는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시는 개발 가능한 토지중 도심에 남은 금싸라기 땅인 수영비행장 터의 매입 계약을 지난 96년 4월 국방부와 체결하고 97년 1월 SK그룹이 참여하는 부산정보단지개발㈜을 설립, 제3섹터 방식으로 부산정보단지 개발사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정보단지 개발사업은 IMF 외환 위기로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서 SK그룹이 사업포기를 선언해 위기를 맞았다. 이후 사업주체와 이름이 바뀌는 우여곡절을 겪은 뒤 지난 99년부터 부산시와 부산시가 출자한 센텀시티㈜가 공동사업시행 방식으로 재추진하고 있다.
특히 99년 DMG컨소시엄과 계획개발분양 등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용역을 통해 기존 텔리포트 대신 디지털시티 개념의 ‘센텀시티 마스터플랜’을 확정했다. 센텀시티는 오는 2004년까지 기반공사 완공을 목표로 지난해 11월 센텀시티 착공에 들어갔다.
센텀시티는 지난 5월 단지안 시설인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가 처음으로 개장했다. 7월에는 미국 EDG사, 롯데쇼핑 등 4개사와 공동개발 업무 협약을 갖고 2150억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받았다. 또 기간통신업체인 GNG네트웍스가 디지털미디어존내 2800평의 부지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와 해저 광케이블 기지국 착공에 들어갔다. 죠이미디어·삼성테스코 등과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또 영상업체와 통신업체 등 국내외 80여개 업체와 토지매각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는 등 첨단 디지털단지로서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어떻게 구성되나=센텀시티는 총 35만4588평의 부지에 산업시설 5만7496평, 지원시설 15만8779평, 공공시설 13만8313평 등을 조성해 인간과 환경?^기술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지는 도심속의 첨단 디지털단지를 지향하고 있다.
이곳은 BEXCO, 국제비즈니스지역(IBC), 도심엔터테인먼트(UEC), 디지털미디어존(DMZ), 테마파크, 복합상업유통지역, 수변공원, 공공청사지역 등 8개 기능지역으로 나눠 개발된다. 이들 각 지역은 독립적인 기능과 특성을 지니면서 서로 유기적이고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지 중앙에는 산업시설인 디지털 미디어존과 테마파크가 배치되고 남쪽에 BEXCO와 IBC가 계획돼 있다. 북쪽에 복합상업유통지역 및 공공청사지역이 들어서게 된다.
특히 전체 면적의 16.2%인 5만7500평 규모로 조성되는 DMZ는 굴뚝 없는 첨단 산업단지로 센텀시티의 핵심 산업시설 지역이다. 이곳은 초고속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게임·애니메이션·영상 등 정보기술 및 미디어산업 육성을 위한 비즈니스인큐베이터(BI), IDC 등의 지원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또 디지털스튜디오·프로덕션 등 국내외의 첨단 영상시설을 적극 유치해 영화도시 부산의 이미지를 살려 아시아 영상산업의 메카로 육성시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DMZ를 중심으로 지원시설인 컨벤션센터와 IBC, 상업업무시설 등은 주변에 배치된다. BEXCO는 4만평이 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시컨벤션센터로 전시장과 국제회의장을 갖추고 있다. 지난 5월부터 이곳에서 각종 전시회가 열려 부산 컨벤션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지역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오는 12월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 조 추첨행사도 이곳에서 열리게 돼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입지 및 향후 전망=센텀시티는 컨테이너 배후도로와 해운대 신시가지 우회도로 등 주요도로와 연결돼 접근성이 매우 좋다. 개통예정인 지하철 2호선 센텀시티역과 동해남부선의 우동역 등 역세권이 형성돼 대중교통 여건도 좋다.
인근에는 해운대 신시가지와 아시안게임선수촌 아파트 등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밀집해 있다. 수영만 요트경기장과 해운대 해수욕장 등 관광명소와 인접한 지리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첨단 디지털단지 조성에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부산 도심지역이다.
센텀시티의 분양가는 지원시설 용지와 산업시설 용지로 나눠 적용되고 있다. 상업·업무·위락시설이 들어설 지원시설 용지는 평당 560만∼730만원이다. 중심상업지역이 평당 650만원. 초기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10% 할인 분양하고 있다.
지식산업·정보통신 시설 등이 입주할 산업시설 용지는 조성원가에 분양한다. 평당 340만원선으로 예상된다.
현재 셈텀시티 분양률은 28%에 불과하다. 높은 분양가가 가장 큰 요인이다.
센텀시티는 오는 2010년까지 투자비가 1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센텀시티사업의 성패는 용지분양에 달려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센텀시티는 취득세 및 등록세 면제 등 각종 세제 혜택과 토지매수자가 토지 계약을 취소할 때 적정 수익률을 가산해 재매입하는 리턴형 토지 판매 형식을 도입하고 있다.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 조기분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센텀시티는 부산을 우리나라 정보·지식 산업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반시설 공사가 한창이다.
/ hanuli@fnnews.com 신선종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