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예약 문화 개선되어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1.09.29 06:49

수정 2014.11.07 12:31


예약 문화 정착 정도는 선·후진국을 가늠하는 한가지 잣대다. 선진국일수록 한번 예약한 것을 사전 취소없이 지키지 않는 경우가 적으며 후진국일수록 그러한 시민의식을 찾아보기 힘들다.

한가위 황금연휴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스스로의 예약문화에 대한 시민 의식이 어느 정도에 있는가를 되돌아볼 필요를 느끼게 된다. 최근 한국소비자보호원이 우리나라 서비스부문의 예약 문화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실망을 넘어 선진국에의 진입이 쉽지 않을 것임을 뼈저리게 느끼게 한다.

이 조사에 의하면 사전에 아무런 연락없이 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예약 부도율이 평균적으로 항공 20%, 병원 18%, 철도 15%, 극장 14%, 음식점 11%, 콘도미니엄 8.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예약 부도율이 가장 높은 항공분야는 아시아나 항공 국내선의 경우로 바캉스가 한창이던 1개월동안 예약한 58만명 가운데 12만 3000여명이 사전 취소 없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부도율 21.5%에 이른다.대한항공의 경우는 같은 기간 19%가 아무 예고 없이 탑승하지 않았다.

음식점의 경우 부도율은 11%지만 예약하고 취소하는 비율이 61%에 달했고, 콘도는 예약하느라 법석을 피우면서 막상 예약한 뒤 41%가 이를 취소했다는 것이다. 치밀한 계획없이 무작정 예약부터 하고 보자는 심리의 결과다.

이를 선진국의 경우와 비교하면 우리 나라 시민의식의 실종을 실감하게 된다. 미국 항공사의 예약 부도율은 5∼7%, 병원은 3%에 불과, 우리의 4분의 1 수준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항공사나 병원 등에서는 아예 초과 예약을 받아두는 관례가 생겨나고 그 결과는 고스란히 이용자의 불편으로 나타나게 마련이다. 예약 부도로 인해 좌석을 비운 채 운항함으로써 항공사가 경제적 피해를 보게 되면 그 비용은 다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셈이다.

이제 예약은 사회적 약속이라는 국민의 자각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국민의 의식에만 맡겨 놓기엔 사회 경제적 비용이 클 뿐만 아니라 증세 또한 치유할 수 없을 만큼 중증이다.
그 많은 캠페인에도 사정은 나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약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주고 취소나 부도 때엔 위약부담금을 매기는 방안을 정착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가령 선진국처럼 여름 휴가철 예약을 연초에 하는 경우 값을 30% 이상 깎아주고 취소하는 경우 일정액의 손실을 감수해야 하며 예약 부도에는 위약금부담을 강제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