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통신은 3일 한국이 최근 경제 개혁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섣부른 낙관론에 젖어들고 있다고 윌리엄 페섹 칼럼리스트(사진)를 인용해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페섹은 이날 기고문에서 한국은 지난 97년 외환 위기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됐던 ‘자아도취(complacency)’와 다시 직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페섹은 한국이 지난 96년 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으로 선진국이 됐다는 자만심과 경기호황이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성급하게 ‘샴페인을 터뜨린’ 결과 사상 최악의 경제 위기를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한국은 외환 위기를 성공적으로 탈출하면서 세계최고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경제 강국으로 재부상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자아도취’의 망령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이달 말 취임을 앞두고 투자자들이 한국의 새로운 경제정책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으며 북핵 문제를 둘러싼 긴장 상태도 한국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의 오랜 난제였던 재벌 문제를 비롯해 기업지배구조 투명성 확보 등 개혁 정책의 마무리, 노동 문제, 가계신용 급증 등의 산적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 정부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와 관련, 김용덕 재정경제부 국제업무정책관은 (한국은) 개혁을 원하지 않는다 해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외국인투자가들은 새 대통령의 정책에 대해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 sunysb@fnnews.com 장승철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