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이 현실성 없는 조건을 내세워 무리하게 재건축공사를 수주, 해당 아파트가격이 급등하는 등 부동산 시장을 왜곡시키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지난 2월 대림산업이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3·4차의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되면서 해당 아파트 가격이 불과 3개월만에 최고 2억원이나 급등했다.
시공사 선정후 3개월이 지난 현재 4억8000만∼5억원이던 33평형이 5억7000만∼6억2000만원을 호가하고 있고 9억2000만∼9억5000만원에 거래되던 44평형은 11억2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2억원 이상 급등했다. 대림산업의 재건축 수주를 기폭제로 다른 단지의 아파트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아파트값 이상 급등 현상은 대림산업측이 제시한 현실성 없는 재건축 수주 조건 때문이라는 게 현지중개업소의 설명이다. 당시 대림산업은 재건축을 위한 아파트 가격(권리가액)평가를 당초 시세보다 평형별로 1억∼2억원이상 높게 제시해 조합원들을 현혹시켰다.
지난 2월초 5억원을 넘지 않은 33평형의 권리가액을 1억원 가량 높여 5억9760만원으로 제시했고 9억5000만원이하로 거래되던 44평형은 11억9520만원으로 산정했다. 이 조건대로라면 44평형을 가진 조합원이 재건축시 60평형을 받기 위해선 불과 7760만원만 추가부담하면 된다. 때문에 현재 이 아파트 시세는 시장상황에 따라 가격이 결정됐다기보다는 대림산업측이 제시한 권리가액 수준으로 형성된 셈이다.
더 큰 문제는 대림측이 제시한 조건으론 재건축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대림산업은 이 아파트를 용적률 274.15%를 적용해 지하2층, 지상20∼25층 아파트 602가구로 1대1 재건축 한다고 조합원들에게 밝혔다.그런데 이 계획대로 재건축이 진행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현지 부동산중개업자들의 견해다.
먼저 압구정동 현대 아파트 대부분이 한강변 500m 이내에 포함돼 수변경관지구로 묶이게 된다. 수변경관지구로 지정되면 12층, 40m이하로 건축이 제한돼 재건축 자체가 불투명해 질 수도 있다. 실제로 바로 옆 단지인 71동과 72동 주민들은 재건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 5월초 삼성물산 건설부문을 시공사로 선정해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또 대림산업이 기본 용적률 250%에 공원부지 인센티브를 적용해 제시한 용적률 274.15%를 적용 받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아직 일반주거지역에 따른 종세분화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민들간의 이해관계 조율도 힘든 상황이다. 비록 같은 필지이지만 61∼64동은 12층의 중층아파트고 51∼56동은 5층 저밀도 아파트이기 때문이다.
일부 조합원들은 각각 분리해 재건축을 추진하거나 현실적으로 재건축이 어려울 경우 리모델링을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현지 한 중개업소 사장은 “재건축이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주민들이 더 잘 안다”며 “오죽했으면 대림산업이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됐다는 그 흔한 플래카드 하나 내 걸리지 않았겠냐”고 반문했다.
한편 대림산업은 준공 18년(86년 준공)에 불과한 강남구 도곡동 개포한신아파트 재건축 시공사 선정에서도 단독 응찰해 지난달 말 시공사로 선정됐다.
/
courage@fnnews.com 전용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