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夏鬪에 떠는 자동차업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3.06.20 09:41

수정 2014.11.07 16:39


현대, GM대우, 쌍용 등 국내 완성차 업계가 노조와의 임단협을 앞두고 올해 노동계 하투(夏鬪)의 중심 핵으로 등장하고 있다. 자동차는 반도체와 함께 우리의 주력산업으로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점에서 자동차 업계의 하투 결과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3일 임단협 결렬을 선언, 오는 7월2일부터 파업을 예정하고 있고, 기아도 24일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GM대우와 대우인천자동차, 쌍용은 7월 초에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협상을 시작한다. 그러나 이들 완성차 업계는 모두 올해 임금 인상요구를 10% 이상 높게 요구하고 있고 근로조건의 후퇴없는 주5일근무제 실시, 경영참여 등 사용자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을 제시하고 있어 임단협이 결코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따라 완성차 업계 대표들은 지난 16일부터 국회와 노동부 장관, 산업자원부 장관 등을 차례로 방문하면서 정치권과 행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으나 웬일인지 아직은 아무런 반응들을 보이지 않고 있어 업계는 그야말로 고립무원의 상태에 빠져 있다.


주5일근무제의 경우 이미 국회에 입법안이 상정돼 있으나 행정부나 국회 모두 이의 통과를 위해 애쓰는 흔적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상태에서 노조의 요구대로 주5일근무제가 실시된다면 각종 공휴일과 연월차 휴가에 토요일까지 놀게 돼 최대한 놀고 일은 최소한으로 하는 비생산적 근무형태가 실시될 우려가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노조의 경영참여 요구에 대해서도 노동부의 가이드 라인조차 나오지 않아 업계는 답답함을 토로할 곳도 찾지 못하고 있다.

일본 도요타의 경우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인 1조엔(약 10조원)의 경상 이익을 냈는데도 올초 춘투를 앞두고 세계 시장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노사간 합의 아래 임금을 동결했고, 미국의 자동차 업계도 일본 등 해외업계의 도전에 대응키 위해 이미 지난 98년 이후 노사간 무분규를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을 왜 보지 못하고 있는지 답답하다.
정치권과 정부는 더 늦기 전에 업계의 건의를 받아들여 관련법 처리와 대책마련 등 적극적 해법을 강구하기 바란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