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투신권 대체 장기형상품 절실

김태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3.06.22 09:42

수정 2014.11.07 16:37


지난 2000년 7월 투신권에 허용된 3년짜리 비과세장기채권형펀드가 7월 만기가 다가옴에 따라 관련 펀드에서 뭉칫돈이 빠져 나가는 등 장기형자금의 이탈이 지속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에따라 투신업계는 유일한 장기형자금인 비과세장기채권형펀드를 대신할 대체 상품이 절실하다며 정부가 관련상품을 유지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23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비과세장기채권형펀드의 수탁고는 지난 2000년 7월 이후 한때 11조9000억원을 기록했으나 이달 19일 현재 3조1000억원으로 무려 8조8000억원이 줄어 장기형 자금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더구나 재정경제부는 최근 이같은 비과세 상품을 축소 내지 통합시킨다는 입장이어서 대체 상품이 마련되지 않는 한 투신권의 단기자금화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따라 업계는 최근 펀드의 만기구조가 단기화돼 있는데다 점점 자금의 성격이 단기화로 치닫고 있어 펀드운용에 심각한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며 비과세 상품의 추가 허용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투신사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장기형펀드로 기능했던 장기비과세채권형펀드의 시한이 7월로 끝나면서 관련 자금의 이탈이 지속되고 있다”며 “현행 1년 이상 가입하면 주어지던 비과세혜택을 2년으로 연장하는 등 기간을 좀 늘리더라도 다시 비과세 혜택을 부여해 장기자금을 재유입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이같은 장기형자금이 들어올 경우 현재 빈사상태에 놓여 있는 회사채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기부동화돼 있는 시중자금의 성격도 장기형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채권시장이든 주식시장이든 들어와 있는 자금들의 성격이 너무 단기화로 치우쳐 있는데다 이로 인한 펀드만기구조의 단기화로 장기투자자금을 마땅히 붙잡을 수 있는 메리트가 점점 없어지고 있는 게 문제라는 지적이다.


특히 우량회사채나 사회간접자본 회사채의 수요를 펀드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이같은 장기형자금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는데 업계가 일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 ktitk@fnnews.com 김태경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