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계 및 전업계 신용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지난 5월에도 크게 높아져 카드사 부실문제가 악화되고 있다. 이에따라 금융당국은 카드사들의 적기시정조치 기준이 되는 조정자기자본비율 산정시 카드사가 발행한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분을 10%까지 반영해 주기로 했다.
22일 금융감독원이 조재환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14개 은행 겸영 카드사의 대환대출 연체율은 34.7%로 전업 카드사의 대환대출 연체율 26%를 크게 웃돌았다. 대환대출 잔액도 1조2668억원으로 전년말대비 24.7% 폭증했다. 이 같은 대환대출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연체율(13.7%)의 2배를 훨씬 넘는 수치로, 은행 겸영 카드사의 대환대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방증한다는 지적이다.
전업계 신용카드사들의 연체율도 11%대를 넘어서는 등 상승하고 있다. 지난 5월말 현재 국내 9개 전업 카드사들의 연체율(금감원기준)은 각 사별로 0.3∼1.8%포인트 정도 오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10.9%를 기록했던 전업 카드사들의 연체율은 5월말 현재 11%대로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업 카드사 연체율은 올해 1월 8.4%, 2월 10.4%로 계속 오르다가 3월말 9.6%로 떨어졌으나 4월부터 다시 상승하고 있다.
외환카드의 경우 5월말 현재 1개월 이상 연체율이 전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11.6%를 기록했다. 반면 1개월 미만 연체금액은 4월 2659억원에서 5월 1631억원으로 38.6% 감소했다. LG카드와 삼성카드도 1개월 이상 연체율이 각각 0.3%포인트, 1.8%포인트씩 상승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그러나 1개월 미만 신규 연체금액은 지난달 하락세로 돌아서 이르면 3·4분기에 연체율 상승세가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카드사들이 연체율과 자본확충에 어려움을 겪자 금융감독원은 신용카드사들의 적기시정조치 기준이 되는 조정자기자본비율 산정시 카드사가 발행한 ABS의 10%를 반영해 주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카드사들의 조정자기자본비율 산정시 조정 총자산에 유동화자산의 10%를 포함하는 내용의 규정개정안을 확정, 금융감독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오는 7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nanverni@fnnews.com 오미영 조영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