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5·23 부동산 안정대책 이후 사업승인을 받은 재건축단지와 30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아파트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은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고, 사업승인 재건축 단지의 경우 기존의 사업방식대로 사업추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5일 현지 중개업계에 따르면 사업이 확실한 재건축단지에는 정부대책 이후에도 매수 대기자들이 가격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향후 분양될 30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아파트에 가수요층이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말까지 서울에서 분양예정인 30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아파트는 모두 16곳에서 2000여가구가 나올 예정이며 서울시내에서 사업승인을 받은 재건축아파트는 29개단지 2만2000여가구에 이른다.
◇300가구 미만 주상복합=연말까지 서울에서만 2012가구가 나올 예정이다. 남광토건은 구로구 구로동에서 ‘쌍용플래티넘’ 155가구를, 현대산업개발도 강서구 염창동에서 ‘현대아이파크’ 136가구를 오는 7월 각각 분양할 예정이다.
LG건설은 용산구 한강로3가에서 이달말 ‘LG한강에클라트’ 89가구를 분양하고 대한주택공사는 7∼8월중 마포구 공덕동에서 ‘파크팰리스2’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밖에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대우건설, SK건설 등도 하반기중 서울에서 주상복합을 내놓을 계획이다.
300가구 미만의 주상복합아파트는 분양권 거래가 자유롭기 때문에 단기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해밀컨설팅 황용천 사장은 “300가구 미만으로 상품을 구성한 주상복합 공급이 러시를 이룰 전망”이라며 “건설업체들이 계약율을 높이기 위해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주상복합을 기획할 것”으롤 전망했다.
◇사업승인 재건축 반사이익 기대=안정대책 발표후 거래가 주춤하지만 재건축이 확실한 단지의 경우 5000만원 이상 떨어지면 사겠다는 대기 수요자가 많다. 따라서 일시적인 조정후 재반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7월부터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과 재건축 후분양제가 실시돼 재건축아파트의 양극화 현상이 뚜렸해질 전망이다. 이미 사업계획 승인을 얻은 조합들은 상대적으로 사업진행이 빨라져 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사업승인을 신청하지 않은 재건축단지는 새로 시행되는 법이 정한 대로 정비구역 지정은 물론 강화된 안전진단을 통과해야 한다. 특히 5년마다 정비구역을 지정해 5년 이후로 사업이 연기되는 최악의 상황도 나타날 전망이어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사업승인 여부에 따라 재건축아파트의 가격 양극화 현상이 심할 것”이라며 “재건축 후분양제 적용 단지는 사업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
sdpark@fnnews.com 박승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