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경제자유구역 어떻게 돼가나] 어떤 후보지가 거론되나

이민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3.06.30 09:44

수정 2014.11.07 16:19


동북아 중심국가 실현방안의 핵심인 ‘경제자유구역’이 1일부터 전면 시행됨에 따라 유력한 지정 대상인 인천·부산·광양 지역이 ‘단군이래 최대의 역사(役事)’를 현실로 옮기기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개 지역 시·도지사는 7월중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 지정 요청을 마친 후 구체적인 개발계획 점검 및 재조정, ‘경제자유구역청’ 발족을 위한 후속 작업 등에 착수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분주한 모습이다.

◇인천공항 인근=인천시는 이미 지난 94년 ‘송도동북아신도시 개발계획’을 세워놓았다. 제조업만으로는 더 이상 인천지역경제의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경제자유구역 시행의 ‘수범 사례’인 셈으로 시는 3개 시·도중 선두주자가 됐다. 연륜과 경험이 많아 ‘경제자유구역 1호’ 지정이 확실하다.


시는 지정이후 ▲영종지역은 공항지원·항공물류·관광 및 레저단지 ▲송도신도시는 국제업무·지식기반산업 중심지 ▲청라지구(김포매립지 또는 서북부매립지로 불림)는 위락 및 국제금융단지로 각각 개발할 계획이다. 송도신도시의 경우 굴뚝산업은 철저히 배제한 첨단업종을 입주시키고 청라지구는 서울 여의도와 유사한 금융타운을 조성한다는 복안을 세웠다.

이를 위해 시는 2020년까지 14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영종지역에 2조2000억원, 송도에 8조원이 투입되고 토지공사가 100% 개발을 맡는 청라지구에 투입된다.

인천시 경제자유구역기획단 최의식 본부장은 “송도지역은 전액 특별회계로 부지를 조성한후 매각해서 재원을 충당할 것”이라며 “영종지역은 기반시설 지원시 50%는 국고보조로, 50%는 공영개발과 민간합작투자를 통해 조달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경제자유구역이 ‘연착륙’하면 고용창출과 도시기반시설 확충, 고급인력 양성, 지역경제 활성화, 국제적인 도시 이미지 구축, 세수증대 등의 막대한 파급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신항=부산시는 중국 상하이항, 일본 고베항, 대만 카오슝항과 경쟁을 벌여 ‘동북아 해상 물류 및 국제 비즈니스 거점’을 육성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부산 강서구 일원 1546만평, 경남 진해시 일원 1300만평, 신항배후부지 93만평 등 총 2939만평을 대상지역으로 검토하고 있다. 실제 개발되는 가용면적은 부산 신항 배후 중심부지 620만평, 경남 507만평 등 1220만평이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서울대 공학연구소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토연구원에 세부개발방안에 대한 용역을 진행중이다.

부산시 경제자유구역기획단 이경희 계장은 “연구원의 중간용역결과를 토대로 7월10일에 지정을 신청할 것”이라면서“동북아 허브 포트 육성과 울산·창원·마산의 산업기능 지원이 초점”이라고 말했다.

즉 울산은 자동차·신소재·정밀화학, 창원은 메카트로닉스·기계부품, 마산은 자유구역의 국제화 지원·보완기능을 도입하는 데 경제자유구역이 힘을 싣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계장은 “부산이란 브랜드는 아시안게임 등 굵직한 국제행사와 홍보 덕에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항만관련 다국적 기업 등의 유치에 효과를 발휘,지역균형발전을 뿌리내리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각 9명, 12명 등 21명의 기획단을 구성, 세부 작업을 진행중이다. 경제자유구역법이 2개 시·도에 경제자유구역이 걸쳐 있을 경우 공동으로 기획단을 구성하도록 한데 따른 것이다.

◇광양항 인근=광양항의 환적 거점 및 광양·여수·순천 등의 배후산업기능을 뒷받침하는 지역으로 키운다는 게 사업의 핵심 목표다. 신청지역은 광양 배후·율촌·율촌 1,2,3산단·광양제철 매립부지·황금산단·세풍산단·성황준공업지구·영광지구 등 14개 지역 2000만평이다.

다른 후보지에 비해 후발주자이긴 하지만 광양 컨테어너 부두가 지난 해 108만 TEU를 처리, 일약 세계 50위권 항만으로 급부상한 저력이 보여주듯 성장동력은 가장 앞선다는 자체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인천과 부산항의 처리능력은 포화상태지만 광양항은 대체항만으로서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논리다.


전남 경제자유구역기획단 이춘봉 계장은 “광양경제자유구역은 개발이 전혀 안돼 새로 개발하는데다 중국과의 지리적 근접성 등을 볼때 기존 지역보다 유리하다”고 평가했다.

광양경제자유구역의 가장 큰 난제는 총 18조원에 이르는 재원 마련.주변 기반시설에 약 12조원, 직접사업시행 개발에 6조원이 필요하다.
도는 외국인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순위를 매겨 역량을 집중한다는 복안이다.

/ lmj@fnnews.com 이민종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