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수송대책] 자가용화물차·軍장비등 긴급 투입

김종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3.08.21 09:58

수정 2014.11.07 14:37


정부는 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가 21일 전면 운송거부에 들어감에 따라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노동부, 해양수산부, 경찰청 등과 함께 비상수송대책본부를 마련, 긴급 수송대책에 나섰다.

정부는 우선 운송차질 최소화를 위해 비화물연대 소속 차량들을 최대한 동원하고 자가용 화물차의 유료 운송을 일시적으로 허가해 추가 수송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비화물연대 차량은 전체 컨테이너 화물차 2만5000대 가운데 1만8000대,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량의 경우 4100대 가운데 3100대인 것으로 파악했다.

자가용 화물차는 8t 이상 1만5489대 가운데 동원 가능한 차량을 파악, 연락처를 확보하고 건교부와 각 시·도 관련단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화물열차를 대거 투입하고 해상운송 능력도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철도의 경우 여객열차 6개 열차를 화물열차로 전환하는 등 23개 열차(508량)를 추가 투입해 화물열차 운행을 기존 102개 열차에서 125개 열차로 확대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컨테이너 열차가 50개 열차 1202량에서 66개 열차 1570량으로 16.2% 운송이 확대되고 시멘트의 경우 52개 열차 1040량에서 59개 열차 1180량으로 각각 늘어난다.


연안 해상운송 수송력도 200TEU(1TEU는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 1개)에서 300TEU로 늘릴 예정이다.

해양부는 화물연대가 전면적으로 운송을 거부할 경우 8∼14일, 30% 차량운행시 9∼19일까지 항만터미널별로 컨테이너 장치장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했다.


정부는 이밖에도 군 병력과 장비도 긴급동원, 군인력 200명과 관련장비 10대를 동원하고 화물연대의 집단행동 지역에서 운송에 참여하는 차량은 경찰이 호송, 동승토록 했다.

/ jongilk@fnnews.com 김종일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