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개혁 5년] <6> 국민은행 왜 완전통합방식 택했나

강문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3.10.08 10:11

수정 2014.11.07 13:23


국민은행은 왜 우리금융이나 신한지주처럼 금융지주 형태를 취하지 않고 완전통합의 길을 걸었을까. 완전통합은 규모의 경제(Economic of Scale)측면에선 장점이 있으나 자회사의 금융정보를 공유할 수 없어 범위의 경제(Economic of Scope)에선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게 정설이다.

◇지주회사와 완전합병=합병 당시 국민은행은 지주회사를 선호했다. 반면 주택은행은 완전합병을 원했다.

김상훈 이사회 회장.“나는 처음 국민과 주택은행이 합병후 나아갈 방향으로 완전합병보다는 지주회사가 좋다고 생각했다. 이유는 당시 대형화-겸업화 흐름속에서 지주회사가 대세를 이루고 있었고 급격히 두 은행을 합칠 경우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완충작용이 필요했다.
이것이 바로 지주회사였다. 특히 지주회사의 경우 업무분장이 가능해 효율성이 클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통합 국민은행은 지주회사가 아닌 완전합병 쪽으로 갔다. 이유는 간단했다. 촉박한 합병일정을 감안할 때 지주회사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럴 경우 통합지연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됐다. 더욱이 합병은행의 영업전략이 리테일 뱅킹쪽으로 옮겨가면서 지주회사보다는 완전 합병이 효율성 측면에서 낫다는 분석도 나왔다. 나아가 당시 정부는 우량과 우량을 합친 ‘슈퍼뱅크’ 탄생을 학수고대하고 있었다. 단일합병에 대한 이같은 기대가 지주회사가 아닌 완전합병쪽으로 간 가장 큰 이유가 됐다. 여기에 김정태 행장의 ‘반(反)지주회사론’도 한 몫했다. 김행장은 지주회사의 경우 ‘옥상옥’성격이 강한데다 복잡한 구조만큼이나 영업실적에 대한 ‘공과’를 따지기가 쉽지 않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소매금융과 도매금융=국민과 주택은행측은 합병 당시 ‘소매금융 비중’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중소기업 여신이 많은 국민은행은 합병은행이 가계 및 소매금융못지 않게 기업금융에도 중점을 둬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반해 주택은행은 모기지론 등 가계금융에 강점이 있는 만큼 소매금융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같은 두 은행의 입장 차는 합병후 전개될 인력 구조조정 방향이나 주도권 흐름과 맞물려 미묘한 힘겨루기 양상으로 확대 전개됐다.

조복현 대전산업대 교수는 “소매금융과 도매금융으로 나눠 본다면 두 은행 모두 소매금융에 치우쳐 있었다”며 “합병후 소매금융에서 탈피해 업무를 다각화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김병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합전 국민은행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금융을 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상당 부문에서 부실이 있었다”며 “소매금융을 택한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