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정기예금으로 변경 검토

천상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3.10.20 10:15

수정 2014.11.07 13:04


은행권이 주택담보대출에 연동하는 금리상품을 3개월 양도성예금증서(CD)에서 1년만기 정기예금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은 대부분 만기 1년이상의 정기예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반면 대출은 이보다 금리가 낮은 3개월 CD 금리에 연동해 금리를 결정하다 보니, 역마진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시중금리 상승시 고객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상당수 고객들은 이같은 움직임을 사실상의 대출금리 인상으로 받아들이며 반발하고 있어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20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3개월짜리 CD 유통수익률에 연동하는 현행 대출금리 체계를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에 연동하는 방식으로 수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CD 유통수익률에 연동하는 현행 금리체계가 자금운용상 미스매치(만기 불일치) 우려가 높다고 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1년짜리 정기예금 등과 연동시키거나 아니면 중장기적으로 은행이 직접 정하는 우대금리(프라임 레이트)를 대출금리의 기준으로 삼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들 은행은 현재 대다수 은행 가계대출(주택담보)의 만기는 3년이지만 기준금리는 3개월짜리 CD 금리여서 왜곡현상을 빚고 있다며 은행 대출의 기준금리를 1년짜리 정기예금이나 금융채 금리에 연동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영일 국민은행 부행장은 “현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지표가 CD 유통수익률이 된 것은 저금리로 시장에 진입하려는 외국계 은행들과의 경쟁에 따른 산물”이라며 “대출금리 체계를 현실에 맞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부행장은 “우선 1년짜리 정기예금 연동 담보대출 상품을 개발, 시장성을 검토해볼 생각”이라며 “시중금리 하락시에는 3개월 연동 금리가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반대일 경우에는 고객들이 손해를 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융계에서는 현행 대출금리 체계에 모순이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CD 금리 연동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큰 시중은행들이 CD금리 급락에 따른 손실이 커지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금리 체계를 바꾸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phillis@fnnews.com 천상철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