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휴대폰 요금 내려야”…네티즌 5313명 설문,81% 찬성


정보통신부와 재정경제부가 평행선을 긋고 있는 휴대폰 요금인하 논란이 인터넷상으로 번져 네티즌간 설전을 벌이고 있다.

모바일 전문사이트 세티즌이 4일 네티즌 5313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요금인하 약인가, 독인가’라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요금인하에 4302명(81%)이 찬성하고 1011명(19%)이 반대했다.

네티즌들은 또 인하폭에 대해 2696명(50.7%)이 7% 이상을, 865명(16.3%)이 7% 미만을, 1366명(25.7%)이 5% 미만을, 381명(7.2%)이 3% 미만의 요금인하를 지지했다.

요금인하 방법과 관련해서는 ‘기본요금 인하’ 2027명(38.2%), ‘기본요금에 비례하는 무료통화 제공’ 829명(15.6%), ‘도수당 통화요금 인하’ 1474명(27.7%), ‘SMS 및 무선데이터(패킷)요금 인하’ 978명(18.4%) 등으로 압도적으로 기본료 인하를 원했다.

한 네티즌은 “이통사들은 마케팅비용으로 올 1·4분기에만 8200억원 등 상반기동안 1조5000억∼1조6000억원 가량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통사들이 출혈경쟁에 막대한 돈을 투입하면서 유독 요금인하에는 인색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따졌다.

요금인하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의 주장도 만만치 않다.


한 네티즌은 “OECD 30개국 1위 사업자의 월평균 요금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가 8번째로 저렴했다”며 “요금 자체가 비싼 게 아니라 통신과소비 때문에 비용부담을 느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네티즌은 “휴대폰요금 인하로 물가를 잡겠다는 재경부 논리는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라며 “요금이 비싸면 안쓰는 게 상책”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통신요금을 내려도 과소비하는 사람은 인하폭 이상으로 더 통화한다”며 “물가 안정만을 생각한다면 휴대폰요금 인하보다는 통신과소비 억제가 더욱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 hwyang@fnnews.com 양형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