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중심사회 만들자]특별기고/김동우 엔바이오테크놀러지 연구소장

차석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4.08.05 11:37

수정 2014.11.07 15:43


먹거리 홍수시대에 살고 있는 소비자들은 어떤 식품이 유해한지 혹은 안전한지를 파악하지 못한 채 갈팡질팡하는 혼돈의 시대에 접해 있다.

다행히도 건강기능식품법의 시행이라는 정책으로 건강보조식품은 한 단계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건강보조식품을 제외한 나머지 먹거리 정책도 더욱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해야 된다. 때문에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식품산업에 종사하는 관련 기업부설 연구소 및 대학 종사자들의 기술개발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예방의학과 영양학을 잘 이해하고 접목해 상품을 기획하고 연구할 기술개발인력은 사실 부족한 실정이다. 필자도 대학, 병원 등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치면서 생명과학 연구를 수행하다가 산업체에 종사하니 연구인력이 턱 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석�^박사급 고급인력이 실업자로 넘쳐나는 현상을 보면 아이러니 하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력과 학교에서 배운 교육 또한 거리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결과로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예를 들면 교수들은 자신이 연구한 테마는 대단하다고 자랑하지만 실제로 보면 산업체에 접목시키기에는 무리가 많다. 원료의 생산 및 안정성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결국 연구테마만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대학도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학생을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교수가 직접 실험에 참여해 연구실적을 내야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연구개발을 담당할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정부 및 대학의 몫일 것이다.

그러나 현 연구과제의 제도는 교수들의 논문실적 등 외형에만 급급,실제 국민들의 세금으로 연구해 국민들에게 다시 돌려줘야 할 의무를 저버리고 있지는 않는가 반성해야 한다.

국가 연구개발(R&D)사업 특히 바이오기술(BT)사업 분야는 광범위한 연구개발을 투자하지만 아직도 중복 및 사업화 실행여부 등의 비효율성이 많아 총체적으로 낭비의 요소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개발 사업의 추진이 프로그램화 되지 않아 국가가 언론에 발표되면 그때뿐이다. 계속 시정되지 않은 채 진행되고 있는 것은 시정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필자가 근무중인 엔바이오테크놀러지에서도 올해들어 2건의 과제를 수행중에 있다. 농림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트레스 완화 및 숙면 촉진용 천연물 소재 개발 연구’ 사업을 3년동안 3억 6000만원을 지원받아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대구카톨릭대학교와 함께 진행해 음료, 화장품, 항료 및 건강기능성 식품사업에 응용할 수 있는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의 기술혁신개발사업과제에 ‘생물학적 검증방법에 의해 한방 원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사업’도 1년간 8400만원을 지원받아 광주보건대학과 수행하고 있다.모두 국민과 소비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것들이다.


이처럼 정부자금으로 진행되는 연구개발 과제는 산·학·연이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접근,소비자들에게 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모든 관계자들이 더욱 노력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