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줄기세포 연구자 가운데 62%가 인간복제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의대 김옥주 교수팀은 과학기술부 세포응용연구사업단에 참여 중인 줄기세포 연구자 336명을 대상으로 ‘줄기세포 연구 윤리의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65.2%가 인간복제에 반대했으며 제한적 허용(30.7%)과 허용(4.2%) 등의 찬성의견이 34.8%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응답자들은 인간배아의 지위에 대해 절반이 넘는 51.5%가 ‘존중돼야 하나 인간과 같은 지위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수정되거나 복제된 순간부터 인간’(21.1%), ‘원시선이 나타나는 수정 후 14일째부터 인간’(20.8%) 등의 응답이 많았다.
줄기세포 연구의 양대 축인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에 대해서는 ‘두가지를 함께 연구해야 한다’는 응답이 80.3%로 압도적이었지만 향후 세포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성공 가능성 측면에서는 성체줄기세포(20.5%)보다 배아줄기세포(46.1%)가 우세했다.
윤리적 논란이 일고 있는 ‘줄기세포 연구를 위한 연구용 배아생산’에 대해서는 제한적허용(66.2%), 허용(15.6%) 등의 의견이 금지(18.3%)보다 훨씬 많았으며 이종간 핵이식에 대해서도 금지(37.8%)보다 제한적허용(52%)을 택한 응답이 많았다.
‘배아 및 복제 관련 연구자들이 윤리지침을 준수하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어느정도 그렇다(46.7%), 그렇지 않다(15.7%), 그렇다(12.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태아조직을 이용한 줄기세포 연구에 대해서는 51.1%가 ‘모두 허용할 수 있지만 엄격한 규정을 지켜야 한다’고 답했으며 ‘자연유산으로 인한 태아조직 연구에 한해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도 39.8%나 돼 대부분이 연구에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원치않는 임신에 의한 인공임신중절시 자신의 태아조직을 타인에게 제공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45.2%가 ‘어떤 형태로든 제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여 대조를 보였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일부 공개됐던 연구 내용을 종합한 것으로 다음달 1일 열리는 제2회 줄기세포 서울 국제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조남욱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