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日경제 고유가영향 적어”…실질GDP대비 원유비중 크게 줄어


일본 경제가 고유가에 강한 체질로 탈바꿈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30일 내각부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내각부 조사에 따르면 1차 오일쇼크 당시인 지난 70년대와 비교할 때 일본 경제는 당시 에너지 소비량의 3분의 2만 갖고도 동일한 국내총생산(GDP)을 산출할 수 있게 됐다.

실질 GDP에서 차지하는 원유 등 ‘최종에너지 소비 비율(70년대=100 기준)’은 1차 오일쇼크가 일어났던 지난 73년 104.3에서 지난 2001년에는 69.1로 크게 떨어졌다.

이는 같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데 드는 에너지 양이 3분의 2 수준으로 줄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일본 경제가 그만큼 고유가에 대한 내성을 키운 것으로 해석된다.

외국 증권사 조사에 따르면 GDP 100만달러어치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양(원유 기준)을 추산한 결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이 평균 191.3을 기록한 반면 일본은 절반을 밑도는 92.2에 그치는 등 에너지 효율도 크게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엔화 강세에 따라 원유 수입액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도 나타나 GDP에 대한 원유수입액 비율이 80년대 초반 5% 수준에서 지난해에는 1% 수준으로 급감했다.

내각부는 “원유가격이 20% 오른다 해도 일본의 실질 GDP는 0.07% 줄어드는 데 그칠 것”이라며 “이는 지난 74년 성장률이 고유가에 따라 0.46% 낮아진 것과 비교할 때 크게 좋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곧 고유가가 일본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예전에 비해 크게 약해졌음을 뜻한다.

/ dympna@fnnews.com 송경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