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정부혁신을 총괄하는 혁신수석비서관실 신설을 검토중인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기존 정책실장 산하의 혁신관리비서관과 민원제안,제도개선 등 3개 비서관실로 구성된 혁신관리실을 수석비서관실로 확대개편하는 형태이지만 업무는 기존의 청와대 내부 혁신관리에서 정부 혁신관리로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올해부터 정부혁신 영역이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교육청, 정부 산하기관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라며 “이에 따라 청와대의 포괄적 혁신관리,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연초 “혁신업무가 점차 확대되고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혁신수석비서관 신설을 검토해보라”는 취지의 언급을 함에 따라 혁신수석 신설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혁신수석 신설 등을 포함해 비서실 조직개편을 검토중이지만 아직까지는 유동적”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 1월 29일 정부 장·차관 및 외청장들과 주요 기관장 그리고 광역자치단체장들까지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05 정부혁신추진 토론회’에서 “혁신만이 살 길이고 혁신이 아니면 살아남을 방법이 없다”며 강력한 정부혁신을 요구했다. 노 대통령은 또 “혁신에 성공한 리더, 성공적으로 이끈 리더, 혁신관리를 성공적으로 해낸 실무지도자를 발굴해 데이터베이스를 특별히 따로 관리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처럼 노 대통령이 공직사회의 혁신에 성공한 리더와 혁신관리 실무지도자에 대한 ‘중용’ 방침을 천명한 데 이어 정부혁신을 관리할 ‘사령탑’을 청와대에 신설하게 되면 앞으로 혁신바람은 관가를 더욱 세차게 불어닥칠 전망이다.
청와대는 앞서 참여정부 출범 당시 신설된 ‘국민참여수석실’을 2003년 12월 조직개편을 통해 ‘참여혁신수석실’로 명칭을 바꿔 운영한 바 있으며, 지난해 5월 참여혁신수석직은 4차 조직개편에서 폐지됐었다.
/ csky@fnnews.com 차상근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