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고용안정센터, 취업전당으로 변모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5.04.08 12:49

수정 2014.11.07 19:30



외환위기 이후 넘치는 실업자 구제창구 역할을 했던 노동부 산하 고용안정센터가 취업전당으로 다시 태어난다.

노동부는 최근 발표한 ‘고용지원서비스 선진화 방안’을 통해 이 같이 밝히고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당초 정부는 고용안정센터를 민간이 외면하는 취업알선 업무를 직접 맡기 위해 설립했다.

외환위기 이전인 1996년 7월 처음으로 서울, 대구, 광주 등 3곳에 ‘인력은행’을 설립했으며 1997년에는 4곳을 추가해 모두 7곳에서 100여명의 직업상담원이 구인·구직자의 ‘중매자’ 역할을 했다.

그러나 고용안정센터는 ‘잡무’로 제구실 못했다는 평가를 들었다.

고용안정센터에 구직 등록한 후 취업한 비율은 2001년 23.6%(102만5000명 중 24만2000명), 2002년 22.0%(87만3000명 중 19만2000명), 2003년 19.2%(93만3000명 중 18만명), 지난해 20.1%(111만3000명 중 22만4000명) 등에 불과했다.


구인·구직을 연결하는 취업알선에 전념해야 할 상담원들이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실업급여 등 행정업무를 떠맡으며 본래 임무에 소홀했기 때문이다.

노동부는 고용안정센터에 대한 혁신을 통해 ‘본업’으로 복귀시킨다는 방침이다.

노동부는 이를 위해 기본적인 업무를 고객과 취업지원 중심으로 재설계하고 센터장 공모제, 성과계약제 등을 통한 업무혁신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 직업상담원이 맡고 있는 행정업무를 넘겨주기 위해 행정공무원 위주의 대규모 증원과 함께 직업상담원도 보강해 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가기로 했다.


고용안정센터의 ‘청년층 직업지도 프로그램(CAP)’, ‘직업적성·흥미 등 직업 심리검사 서비스’, ‘인턴·연수 프로그램’, ‘직업지도 시범학교’, ‘중·고교생 현장체험학습(Job-School)’ 등의 수혜자도 크게 늘려갈 계획이다.

각 지역에 특화된 고용서비스를 위해 지자체, 노사단체, 대학, 훈련기관 등을고용안정센터를 중심로 묶어 ‘지역 고용네트워크’ 구성도 추진하게 된다.


노민기 고용정책실장은 “고용안정센터는 앞으로 일반 구직자는 물론 실업급여 수급자, 청소년, 자영업자 등에게 상담에서 사후관리까지 ‘원스톱’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jongilk@fnnews.com 김종일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