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시급한 서민금융 구조조정/이민종기자

이민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5.04.10 12:49

수정 2014.11.07 19:26



“지난해 수익 좋았어요.”

최근 만난 A상호저축은행 대표는 지난해 경영성과에 대해 내심 흡족한 표정을 지었다. 그가 밝힌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50억원.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저축은행으로서는 괄목할 만한 성적표다.

그는 “대출금이 늘면서 이자수익도 늘었지만 저축은행들이 자발적으로 지난해말 수신금리를 5.87%에서 5.51%로 내린게 이자비용 감소효과를 낳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금감원에 따르면 부실로 낙인찍힌 일부 저축은행을 제외한 109개 저축은행중 흑자 저축은행은 83개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7개나 늘었다.

그러나 외형적인 순익이 증가했고 전문경영인들이 의욕적으로 경영 전반을 챙기거나 해외 유수자본과 제휴하는 저축은행이 늘고 있는데도 불구, 부실화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 잘 드러나지 않았지만 속으로 곪아 있기 때문이다.
대주주 대출한도 위반 등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대주주의 전횡을 견제하지 못하는 지배구조의 미비도 문제다. 금융연구원 정찬우 연구위원은 ‘서민금융체계 확립의 필요성’ 보고서를 통해 “서민금융기관은 저신용계층의 금융서비스를 주업으로 해야 하지만 이런 여력이 없다”면서 “수익기반 확충노력과 구조조정을 통한 건전성 유지란 두가지 정책적 균형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금융감독당국도 ‘위기의식’을 느끼는 눈치다. 지난해 미흡했던 과제중의 하나로 저축은행을 포함, 농협·수협·신협 등 제2금융권에 대한 구조조정을 지목하고 올해 ‘채찍’을 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2007년말이면 시중은행에 신국제결제은행(BIS) 협약이 적용돼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나 가계의 은행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저신용기업 및 가계의 시선이 자연스레 상호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쏠릴 것은 자명하다.
저축은행이 신속하면서도 내실있는 구조조정을 거쳐 ‘돈 떼일 걱정없는 서민금융의 친숙한 벗’으로 환골탈태하길 기대한다. 그래야 서민경제의 혈맥이 돌게 아닌가.

/ lmj@fnnews.com

fnSurvey